만우절의 역사와 유래를 알려 주시기 바랍니다.
해마다 4월 1일이 되면 장난전화 및 장난치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바로 만우절이라서 그런데요. 만우절의 역사와 유래를 알려 주시기 바랍니다.
해마다 4월 1일이 되면 장난전화 및 장난치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바로 만우절이라서 그런데요. 만우절의 역사와 유래를 알려 주시기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신기한친칠라145입니다.
유래에 대한 설은 여러 가지가 있는데, 중세시대 유럽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가장 유력하다. 16세기 무렵, 유럽에서 1년의 시작으로 여겼던 부활절의 날짜가 3월 25일부터 4월 20일까지 해마다 들쭉날쭉했다. 그러던 중 프랑스 왕국의 샤를 9세가 1564년, 1월 1일을 새해로 선포했다.
하지만 당시의 정보 전달은 지금에 비해 아주 느렸기에 발표 이후에도 몰랐던 사람들이 있었고, 아일랜드의 가톨릭 신자들처럼 왕의 선포 이후에도 바뀐 사실을 무시한 사람들이 있었다. 이때 이들에게 새해 축하 인사를 하며 내심 비웃든가, 신년 파티에 초대하고 나서 바람맞히거나 가짜 새해 선물을 보내는 등 날짜가 바뀌었던 것을 알고 있는 사람들[2]이 비웃으면서 일부러 물먹인 일이 있었는데, 이것이 현재의 만우절의 기원이라는 것이다. 이때 거짓말하는 것은 오전까지만 허용된다는 조건이 있었던 듯하지만 미국으로 넘어오며 시간 제한이 사라졌고, 그것이 다시 전 세계로 퍼져나갔다.
만우절의 유래가 탄생한 프랑스에서는 만우절날에 속는 이들을 일컬어 '푸아송 다브릴(Poisson d’avril)'이라고 부른다. 4월의 물고기라는 뜻인데, 당시 4월에 물고기가 유독 잘 낚이더라는 것에서 유래했다.
만우절 장난에 속아 넘어간 사람을 '4월 바보' 또는 '푸아송 다브릴(Poisson d'avril)'이라고 부르는데 이것은 '4월의 물고기'라는 뜻으로 고등어를 가리킨다. 고등어가 4월에 많이 잡혀 4월 1일에 속는 사람을 ‘4월의 물고기’라고 하는 설이 있고, 4월이 되면 태양이 물고기자리를 떠나므로 그것이 기원이 되었다는 설도 있다. 또한 고등어를 뜻하는 마크로(maquereau)라는 말에는 '유괴하는 사람'이라는 의미도 있는데 4월은 사람을 속이는 유괴자가 많은 달이라 하여 붙여진 이름이라고도 한다.
동양 기원설도 있는데 인도에서는 춘분에 불교의 설법이 행해져 3월 31일에 끝이 났으나 신자들은 그 수행 기간이 지나면 수행의 보람도 없이 원래의 상태로 되돌아갔다고 한다. 때문에 3월 31일을 야유절(揶揄節)이라 부르며 남에게 헛심부름을 시키는 등의 장난을 치며 재미있어 한 데서 유래하였다고 한다.
[네이버 지식백과] 만우절 [April Fool's Day, 萬愚節] (두산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
이것이 오늘날에는 다 같이 악의 없는 장난으로 낚시하는 날이 되었다. 이를테면 고등학교를 갓 졸업한 학생들이 교복을 입고 모교로 가는 장난을 치는 경우도 있다고 하며, 학생들끼리 각자 반을 바꾸고 책상 자리도 앞뒤를 바꿔서 칠판을 등지도록 앉기도 한다. 만우절이 개교기념일인 학교에서는 이런 장난을 볼 수 없어[3] 이날 해당 학생들은 교복을 입고 다른 지역으로 놀러가기도 한다. 또한, 포스코교육재단 소속 학교는 포스코 창립기념일이 만우절이어서 높은 확률로 학교를 가지 않는다. 다만, 교사에 따라서는 이런 웃자고 하는 행사에 짤없이 기합을 주는 등 흥을 깨는 경우가 있다. 학교뿐만 아니라 재수학원에서도 만우절 장난을 친다.
이 답변은 콘텐츠 관리 정책 위반으로 비공개되었습니다.
이 답변은 작성자의 요청 또는 모니터링으로 삭제되었어요.
안녕하세요. 산바다계곡하늘나무별입니다.
만우절 유래
16세기 유럽, 1년의 시작인 새해는 부활절인 4월 1일이었습니다. 하지만 1564년 프
랑스의 왕 샤를 9세가 지금의 양력인 그레고리력을 받아들여 새해를 4월 1일에서 1
월 1일로 바꿨습니다. 급격한 변화에 반대하는 사람들이 1/1 변절자들을 비웃기 위
해 4/1에 새해 파티에 초대하고 나서 바람을 맞히거나 가짜새해 선물을 보내는 일
이 벌어졌는데 이것이 만우절의 유래가 되었습니다.
이 답변은 콘텐츠 관리 정책 위반으로 비공개되었습니다.
이 답변은 작성자의 요청 또는 모니터링으로 삭제되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