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풋풋한저빌40
풋풋한저빌4020.06.16

주식시장에서 요즘 뜨거운공매도란 무엇인가요?

공매도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주식에서 공매도 때문에 주식이 떨어진다고하는데 왜그런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dike입니다.

    공매도란, 주식을 보유하고 있는 사람이 수수료를 받을 목적으로 공매도 희망자에게 주식을 빌려줍니다.

    공매도 희망자는 대여한 주식을 시장에 매도하고, 매도한 가격보다 주식이 더 하락했을 경우 주식을 다시 매수합니다.

    매수한 주식만큼만 대여자에게 반납하고, 나머지 차익은 공매도 희망자가 갖습니다.

    현금으로 주식을 빌려서 매도한 뒤, 다시 매수해서 빌린 주식의 갯수를 갚고 현금 차익만큼 갖는 것이 공매도입니다.

    감사합니다.


  • 남의 주식을 빌려서 매도 하는겁니다.

    내가 내 소유의 주식을 갖고 있지 않기 때문에 빌 공(空)자를 써서 공매도, 즉 가라로 매도를 합니다.

    시가 1000원인 주식이 있다고 칩시다.

    나는 이 종목을 보유하고 있지 않지만 보유한 타인에게서 잠시 주식을 빌려옵니다.

    그리고 1000원에 팝니다. 물량적 측면에서 보면 그렇게 빌려온 주식이 많기 때문에

    가격은 하염없이 떨어집니다.

    그리고 그렇게 팔아제끼기를 계속하면 주식가격이 떨어지고 떨어져서 반토막난 500원이 될 즈음에

    다시 주식을 삽니다. 아까 1000원에 팔았으니까 1000원을 가지고 500원짜리가 된 주식을 사면?

    나에겐 500원이 남겠죠. 어차피 돌려줄땐 주식으로 돌려주면 되니까요.

    하지만 나는 500원을 벌은 거죠.

    이런 차익을 노리고 하는게 공매도입니다. 하지만 국내 증권가는 사실상 이런 공매도를 기관과 외인만 할 수있도록 장벽을 높게 쳐놓아서 사실상 이런 공매도를 하는건 기관과 외인이고, 개인투자자 개미들은 속절없이 공매도에 당하기만 합니다. 그래서 현행 주식시장에는 공매도에 관한 원성이 자자합니다.

    개미들 돈빨아먹는 구조적인 폭력이라고요.



  • 주식을 소유하지 않은상태에서 주식을 빌려서 매도주문을 내고 , 결제일이 돌아오는 3일 내에 떨어진 주식을 싼값에 돌려주어 시세 차익을 챙기는 방법입니다.

    쉽게말해서, 주가가 하락하면 공매도 투자자는 돈을 벌고 ,

    주가가 상승하면 공매도 투자자는 손해를 봅니다

    소위 말하는 세력들은 상승장을 주도하여 높은가격으로 수익을 보고

    또 , 떨어지는 장에서도 공매도를 이용해 수익을 보기도 합니다.


  • 공매도란 현재 내가 주식을 갖고 있지는 않지만 다른 사람의 주식을 빌려서 일단 주식을 먼저 팔고 나중에 다시 사는 방식의 거래를 말합니다. 시장에 S전자의 50000원 자리 주식을 1주가 있다고 가정합니다.

    A라는 사람이 S전자 1주의 가치는 4만5천원이라고 생각합니다. 시장환경에 따른 S전자의 주식이 고평가 되었다고 판단해서요.

    그래서 다른 사람으로부터 1주를 5만원에 먼저 팝니다. 그다음에 A가 예측했던대로 시장상황이 정상적으로 돌아오면서 주가가 A가 생각했던 가격인 4만 5천원이 됩니다 이때 A는 다시 1주를 구매하게 됩니다.

    자, 나는 5만원에 먼저 팔았고 4만 5천원에 다시 샀으니 5천원의 차익이 생기게 되었죠? 이렇게 시장 상황과 기업의 영업상황에 따라서 기업 가치를 미리 예견하고 사고 파는 것을 공매도라고 말합니다.

    여기서 질문 그러면 사람들은 공매도를 왜 싫어할까요? 일단 시장에 있는 모든 사람들이 전체적으로 주가가 빠질거라고 예상하고 있다고 가정해 봅시다. 그런데 내주식이 떨어지길 원하는 사람이 있을까요? 내 주식은 올랐으면 좋겠는데 시장의 외부환경에 영향을 받아 주가가 떨어지기 시작합니다. 그런데 여기서 공매도세력이 주식을 마구 내던지기 때문에 주가가 빠지는 것이라고 믿기 시작합니다.

    물론 공매도를 하면서 아에 영향이 없다고는 부정할 수 없겠죠, 무조건 공매도를 한다고 주가가 다 빠지는건 아닙니다. 그리고 공매도를 우습게 알고 아무 주식에나 마구 때리면 손해율이 정말 어마어마할 수 있습니다.

    솔직히 좋은 주식 꾸준히 매수하여 장기적으로 보유하면 공매도 세력이 두려울게 없습니다. 같은 주주입장에서 조금 누군가 약간의 이익을 챙길 수는 있겠지만 주가가 계속 해서 오르면 오를수록 서로 이익을 보는 구조기 때문에 공매도 세력들도 계속해서 공매도를 할 수는 없습니다 아까 말씀드렸다 시피 공매도를 할 때는 주식을 빌려와서 팝니다. 그렇기 때문에 일단 다시 매수를 하기 전까지는 약정 이자를 내야 합니다. 그리고 약정이자를 내는 것 뿐아니라 주가가 예상했던 것과 달리 올라버리면 정말 울며겨자먹기로 팔았던 가격보다 비싼가격에 되사야 합니다.

    그러면 5만원에 팔고 7만원에 되사면 2만원 + 그동안 냈던 이자 손해까지 겹쳐서 큰 손해를 볼 수가 있습니다. 게다가 주가가 많이 올라 고평가가 되었다고하면 주가는 또 그상황에서 빠질수도 있습니다.

    공매도가 사람들이 생각하는 것처럼 그렇게 만만한게 아닙니다. 공매도에 대해서는 조금 더 다양한 시각으로 보시는 노력을 해보시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다만 지금처럼 실물경기가 너무 안좋아서 주가가 장기적으로 하향할 것으로 보일 때 공매도를 허용하는 것도 주가의 하방을 부추기는 것이기 때문에 한시적으로 공매도를 금지하는 것 자체는 저도 찬성합니다.


  • 아무것도 없는 상태에서 파는 행위를 먼저 한다고해서 공매도입니다

    공매도 때문에 주가가 떨어진다고 하는데 전 그렇게 생각 안합니다

    저평가된 주식은 현재 공매도로 주식가격이 떨어진다해도

    결국 제 평가를 받으려 가격이 올라갑니다.

    이런상황에서 오히려 공매도된 물량은 청산(매수)해야하므로

    매수에 추진력이 붙습니다.

    공매도 때문에 주가가 떨어진다는 것은 셀트리온과 테슬라를 보면 그렇지 않다는걸 알 수 있습니다

    몇달전 코로나로 폭락하기 전 테슬라가 상승하다가 꼭대기에서 비이성적으로 더 폭등한적도 있습니다.(추격매수와 추격매수꼴이되는 공매도의 청산물량)

    애초에 갈 주식은 공매도가 아무리 퍼부어도 결국 갑니다.

    지금 당장 가격하락의 압박이 있어도 이건 싸게 구입할 기간이라 생각하면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