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용어

신기한퓨마62
신기한퓨마62

눔프 단어는 어떻게 생성이 되었나요?

안녕하세요.

'Not Out Of My Pocket'의 약자로 복지가 늘어나는 것에는 찬성하지만 내 주머니에서 돈이 나가는 것은 반대하는 이중성을 꼬집는 용어로 지역 내 혐오시설 진입을 반대하는 용어인 님비(NIMBY)와 비숫한 의미로 눔프라는 단어가 사용 중인데요.

어떻게 이 단어가 나왔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눔프 단어에 대한 내용입니다.

    눔프는 님비와 거의 흡사한 용어로 복지 관련된 내용입니다.

    이는 대략 2010년대 중반에 나온 용어로 정확한 출처를 찾기는 어렵습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눔프라는 용어는 2014년 즈음 복지가 필요하면서 복지비용을 반대하는 사람(시민단체)가 생겨나면서 새롭게 등장했고 영어 Not Out Of My Pocket을 줄인것이라 특별한 유래가 있지는 않습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눔프는 복지와 세금 부담 간의 갈등에서 나왔습니다.

    복지 혜택이 확대됨에 따라 많은 사람들이 이 혜택을 받고 있지만 이러한 복지 재원마련은 세금을 통해 만들어집니다.

    이러한 복지가 늘어남에 따라 세금부담도 커지게 되는데 이런 상황에서 눔프 라는 말이 생겨나게 되었습니다.

    참고 부탁드려요~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이힘찬 경제전문가입니다.

    눔프는 내 주머니에서 돈이 나가는 건 싫다의 약자로 만들어진 신조어예요.

    이 단어는 공공복지 확대에는 찬성하지만, 그 비용을 자신이 부담하는 것은 반대하는 태도를 풍자하기 위해 등장했어요.

    지역 내 혐오시설 유치를 반대하는 님비처럼, 공공의 이익에는 공감하지만 개인의 손해는 원치 않는 이중적 태도를 꼬집는 표현이에요.

    즉, 눔프는 사회적 책임은 요구하면서도 경제적 부담은 회피하려는 심리를 풍자하는 사회비평적 표현이라고 볼 수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전문가입니다.

    “눔프”는 “Not Out of My Pocket”의 앞 글자를 딴 신조어로, 복지 확대에는 찬성하지만 내 돈이 쓰이는 것에는 반대하는 이중적 태도를 설명하기 위해 만들어졌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