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자동차 이미지
자동차생활
자동차 이미지
자동차생활
신대부적오함마
신대부적오함마23.01.04

블랙아이스가 생긴건 어떻게 알수있죠?

겨울이 되면 도로에 블랙아이스가 생겨서 위험하다는데요. 이 블랙아이스는 자동차 운행 중 어떻게 알수있나요?육안으로 식별이 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굳건한후투티38입니다.

    육안으로 알 수 없습니다. 고가도로나 터널 출구 등과 같이 블랙아이스가 자주 생기는 곳에서는 속도를 줄여서 통과하는 수밖에 없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1.04

    안녕하세요. 럭셔리한갈매기156입니다.

    도로 살얼음 구간의 상습 발생 지역은 4가지를 뽑을 수 있는데,

    • 눈이 내린 지역(특히 염화칼륨과 합쳐진 경우),

    • 터널 입구와 출구,

    • 그늘진 산모퉁이,

    • 다리가 접해지는 교각 지점입니다.

    그뿐만 아니라 비가 내리고 나서 밤사이 습기가 많은 교량 위나 호숫가 주변 도로 등에서도 생길 수 있다고 합니다.

    특히, 교량 밑은 항상 강풍이 많이 불어서 쉽게 기온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

    주로 겨울철 아침 시간대에 터널 출입구나 다리 위의 도로에서 자주 발견됩니다. 눈비가 내리지 않더라도 다리 위나 호숫가 주변의 도로, 또는 그늘이 져 있는 커브 길과 같이 기온의 차이가 큰 곳에서도 생기기 쉽습니다.

    특히 제설 작업을 위해 도로 위에 뿌린 염화칼슘이 눈과 결합하게 되면, 도로 위에 남아있던 수분이 도로 표면을 더욱 미끄럽게 하므로 블랙아이스 현상이 잦아진다고 하니 주의하셔야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효도르입니다.

    낮 동안에 눈 또는 비가 내리면 아스팔트 도로의 틈새로 스며들었다가 밤사이에 도로의 기름, 먼지 등과 섞여 도로 위에 얇게 얼어붙습니다.

    도로 위에 형성된 수막은 미끄러운 스케이트장과 비슷하게 변하는데요.

    그러면 이를 도로 결빙 현상이라고 하죠. 즉, 빙판길이 생깁니다.

    이때, 얼음이 워낙 얇고 투명하므로 도로의 검은 아스팔트 색이 그대로 비쳐 보이기 때문에 검은색 얼음이라는 블랙아이스(Black ice)로 불리게 된 것입니다.

    산밑이나 도로 아스파트의 색이 진하면 일단 조심하면서 운전하셔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