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주식·가상화폐 이미지
주식·가상화폐경제
주식·가상화폐 이미지
주식·가상화폐경제
노가다뚜벅초
노가다뚜벅초23.10.19

대한민국 코스닥 코스피의 상한하한

주식 거래를 하다보니 상한가 하한가를 알게 되었는데요 상하한이 30프로였던게 얼마 안됬다고 하더라구요.


단주매매와 상한하한이 생긴 배경과 역사를 알고싶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손용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상한가란 주식시장에서 주식이 하루 동안 상승 할 수 있는 최고 가격을 뜻합니다. 반대로 하한가란 하루 동안 하락할 수 있는 최저 가격을 뜻하는데 현재 우리나라는 코스피, 코스닥 시장 모두 상 하한가 폭을 ±30%로 제한하고 있는데 한국 거래소는 1998년 가격 제한폭을 12%에서 ±15%로 확대 했고 다시 2015년 6월 15일 지금의 ±30%로 수정 된 것 입니다. 참고로 미국 주식 시장은 상 하한가 제한폭이 없습니다. 우리 나라만 상 하한가 폭을 정한 이유는 주식이 도박과 같은 사행성 문화로 흐르지 않게 하는 안전 장치 차원에서 그렇게 한 것으로 생각 됩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상한가와 하한가가 생겨난 배경은 주식시장의

    지나친 변동성을 줄이기 위하여 생겨난 제도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의 주식시장은 미국보다 상대적으로 자본시장의 안정성이 떨어짐에 따라서 가격이 급변성이 더 클 수 있어서 투자자보호를 위해서 가격제한폭 제도를 만들었다고 해요. 이 가격제한폭은 1995년에는 6%, 1996년에는 8%, 1998년 3월에는 12%, 1998년 12월에는 15, 2015년 6월에 지금의 가격제한폭인 30%까지 확대되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