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행복하게살아요
행복하게살아요

장마로 인하여 산사태가 발생하는 원리가 궁금합니다.

요즘 장마철로 인하여 우리나라 중부 지방에 집중 호우가 내리고 있습니다.

이렇게 비가 많이 내리다 보니 충청도와 경상도에 산사태 위기 경보까지 발령을 했다고 하는데요.

이처럼 장마로 인하여 산사태가 발생하는 원리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

    장마로 인해 산사태가 일어나는 현상은 지표면의 흙, 돌, 나무 등이 무너져 내려서 발생하게 됩니다. 장마기간 동안 지속적이고 강한 비가 내리게 되면 빗물이 지표면으로 스며들어 토양에 흡수되게 되고 시간이 지나면서 토양이 점차 물로 포화되게 됩니다. 이에 따라 포화된 토양이 물을 머금어 무거워지고 입자간의 결합력이 약해져 불안정해져 토양의 미끄러짐과 붕괴를 쉽게 만들어지게 됩니다. 비가 내릴때는 토양 속의 공극에 물이 채워지면서 공극내 물의 압력이 증가하고 간극수압이 높아지면서 토양 입자 간의 마찰력이 감소하여 전단 강도가 낮아지게 되어 토양이 쉽게 붕괴되게 되죠 이때 경사가 급할수록 중력에 의해서 많이 미끄러지며 지형적인 요소에 큰 영향을 미치기도 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용준 전문가입니다.

    비가 내리면 지표면에 내린 비는 토양 사이의 틈을 따라 지표면 아래로 내려갑니다. 토양 입자 시이의 틈을 공극이라고 하며, 지표면에 내린 비는 지표 아래로 내려가 이 공극을 채우게 됩니다. 비가 많이 내리면 토양의 공극이 물로 포화가 되며, 공극을 채우고 있는 물의 압력에 의해 토양 입자 사이가 벌어지고 불안정해집니다. 불안정해진 사면에 충격이 가해지면 사면을 이루고 있던 토양이 토양 사이의 물과 함께 사면 아래로 미끄러져 내려오게 됩니다.

    비가 올 때만이 아니라 비가 그치고 난 후에도 토양 내부에 물이 충분히 있다면 산사태가 일어날 확률이 높습니다.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