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전기·전자

지혜로운사자35
지혜로운사자35

사막에 고층빌딩을 지으면 아래 모레밖에 없는데 건물을 세우는것이 신기한데요. 이때 아래 모레에 파일을 세우고나서 그 파일에 전기를 흐르게 한다는데 왜 그런건가요??에

사막에 고층빌딩을 지으면 아래 모레밖에 없는데 건물을 세우는것이 신기한데요. 이때 아래 모레에 쇠파일을 세우고나서 그 파일에 전기를 흐르게 한다는데 왜 그런건가요??에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설효훈 전문가입니다. 모래에 쇠파이프를 꼽아도 모래는 단단하지 않아서 쇠파이프가 건물을 지탱하지 못합니다. 그런데 전기를 흐르게 하면 전기로 인해서 모래밖에 없어 보이는 지반에도 전기에 의해서 물들이 그쪽으로 이동하게 되고 물로 인해서 모래가 단단해 지면서 지탱할수 있게 되는 것입니다. 그래서 지속적으로 전기를 흐르게 하여야지만 건물을 지탱가능해서 지속적으로 전기를 흐르게 하는 것입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모래의 땅은 전기가 잘 통하지 않습니다. 그래서 벼락 같은 것이 떨어지면 에너지가 흩어지지 못하기 때문에 위험할 수 있죠. 그래서 건물을 세울 때 박은 쇠파일들이 전기적으로 연결을 해서 접지의 역할을 하게 하는 것입니다. 쉽게 말해서, 벼락을 맞아도 전류가 땅 속으로 안전하게 빠져나갈 수 있는 길을 터준다고 이해할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재화 전문가입니다.

    사막처럼 모래 지반을 가진 곳들은 지하수가 적고 전기가 잘 흐르지 않기 때문에 건물에 낙뢰가 치면 전류가 제대로 흘러나가지 못할 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접지를 하기 위해서 기초 파일에다가 강제로 전류가 흘러갈 수 있는 길을 만드는 것이라고 보면되겠습니다. 낙뢰, 누전 시 전류를 안전하게 대지로 방류하기 위함이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전찬일 전문가입니다.


    사막처럼 모래만 있는 땅은 흙이나 암반에 비해 단단하지 않고 또 건조해서 전기가 잘 통하지 않습니다 그래서 고층빌딩을 세울 때 땅속 깊이까지 쇠파일을 박아 구조적 지지력을 박아 구조적 지지력을 확보하는데, 동시에 그 파일을 접지 역할로 활용하기도 합니다 접지는 낙뢰나 전기 설비 이상으로 생기는 전류를 땅으로 안전하게 흘려보내는 장치인데, 모래는 전기가 잘 안통하니까 그냥 두면 접지 효과가 떨어집니다 그래서 파일에 전기를 흘려보내거나 특수 화학 물질로 토양 저항을 낮춰서 파일과 주변 모래 사이에 전도성을 만들어주는것 입니다. 이렇게 해야 번개가 치거나 전기 사고가 나도 건물이나 사람에게 피해가 가지 않고 안전하게 전류가 땅속으로 흘러가도록 할 수 있는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전문가입니다.

    사막의 모래는 입자가 고와서 지반 지지력이 약하고 전기도잘 통하지 않기 때문에 고층 빌디을 세울 때 강철 파일을 깊이 박아 안정성을 확보합니다 그런데 모래는 건조해 접지가 잘 되지 않으므로 파일에 전기를 흘려 주변 토양의 수분과 염분을 끌여들여 전도성을 높이고 안정적인 접지 전극 역할을 하게 합니다 구조적 지지와 동시에 전기적 안을 위해 파일에 전기를 흐르게 하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조일현 전문가입니다.

    관련 이유로는 철근 부식을 막기 위해서 입니다.

    쇠말뚝 파일은 시간이 지나면서 산소 및 수분, 염분으로 부식이 일어날 수 있기에 전기를 흐르게 하는 음극 보호 시스템을 설치하게 됩니다. 이에 따라 말뚝에 전류를 흐르게 하여 부식이 일어나지 않게 하여 건물을 지탱할 수 있게 해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