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정책

활발한당나귀246
활발한당나귀246

쌀값이 오르는데 왜 굳이 비축을 더 합니까

시장에 풀 물량이 줄면 더 오를 수도 있다는 걱정이 있습니다. 정부는 가격 안정이 목표인지 농가 소득 지지가 목표인지 알고 싶습니다. 판단 근거와 데이터가 있으면 공개 부탁드립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쌀값 움직임은 늘 민감한 이슈죠. 정부가 비축 물량을 더 들여가는 건 단순히 시장에 풀리는 물량만 줄이는 게 목적은 아니라고 합니다. 평상시에는 쌀을 사들여 두었다가 수급이 불안정할 때 풀어내서 가격 급등락을 막는 안정 장치 역할을 한다고 보입니다. 또 농가 입장에서는 수확기 가격이 너무 떨어지지 않도록 완충해주는 기능도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다만 실제 효과는 시점과 물량에 따라 다르다는 지적도 많습니다. 최근 발표된 자료를 보면 비축 확대는 가격 안정과 농가 소득 두 가지를 동시에 겨냥한 조치로 확인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정부가 매년 쌀을 충분히 비축하면서도 농민 반발 등을 이유로 쌀값 상승기에 공급을 주저하고 있는 것인데요. 햅쌀이 수확될 시기를 앞두고 있는데 비축미를 지나치게 풀어 쌀값이 하락하기 시작하면 수확기 때 쌀값이 폭락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쌀값이 오르는데 굳이 비축을 하나에 대한 내용입니다.

    일단 정확한 판단 근거나 데이터는 없지만

    비축을 한 것은 그 동안 쌀 생산이 많았기 때문에

    그런 데이터를 근거로 비축을 했을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