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쌀값이 오르는데 왜 굳이 비축을 더 합니까
시장에 풀 물량이 줄면 더 오를 수도 있다는 걱정이 있습니다. 정부는 가격 안정이 목표인지 농가 소득 지지가 목표인지 알고 싶습니다. 판단 근거와 데이터가 있으면 공개 부탁드립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쌀값 움직임은 늘 민감한 이슈죠. 정부가 비축 물량을 더 들여가는 건 단순히 시장에 풀리는 물량만 줄이는 게 목적은 아니라고 합니다. 평상시에는 쌀을 사들여 두었다가 수급이 불안정할 때 풀어내서 가격 급등락을 막는 안정 장치 역할을 한다고 보입니다. 또 농가 입장에서는 수확기 가격이 너무 떨어지지 않도록 완충해주는 기능도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다만 실제 효과는 시점과 물량에 따라 다르다는 지적도 많습니다. 최근 발표된 자료를 보면 비축 확대는 가격 안정과 농가 소득 두 가지를 동시에 겨냥한 조치로 확인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정부가 매년 쌀을 충분히 비축하면서도 농민 반발 등을 이유로 쌀값 상승기에 공급을 주저하고 있는 것인데요. 햅쌀이 수확될 시기를 앞두고 있는데 비축미를 지나치게 풀어 쌀값이 하락하기 시작하면 수확기 때 쌀값이 폭락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쌀값이 오르는데 굳이 비축을 하나에 대한 내용입니다.
일단 정확한 판단 근거나 데이터는 없지만
비축을 한 것은 그 동안 쌀 생산이 많았기 때문에
그런 데이터를 근거로 비축을 했을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