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예금·적금

진지한석화구이
진지한석화구이

사람들이 저축에만 신경쓰게되면 경제적으로 어떤 결과가 생기는지요?

어렸을때부터 저축을 하는 습관을 어린이들에게 길러줘야 한다고 하면서 은행에 가서 스스로 자기 계좌에 용돈을 저금하는 친구들을 굉장히 대견해하고 칭찬을 많이 해주고하는 사회적 분위기에서 자랐는데요. 사실 그렇게 저축만 하도록 하는게 후진국, 개발도상국의 경제교육의 형태라고 들었습니다. 이렇게 저축에만 사람들이 집중하고 신경을 쓰게 된다면 나라의 경제에는 어떠한 결과들이 생기는 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만약 사람들이 저축만 하고 돈을 쓰지 않는다면, 여러 가지 영향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은 소비 부진과 경기 침체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1. 소비 부진: 소비는 경제의 주요 구성 요소 중 하나입니다. 사람들이 돈을 쓰지 않고 저축만 한다면 소비 부진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소비 부진은 기업의 매출 감소와 생산량 감소로 이어질 수 있으며, 이는 경제 성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2. 생산 감소: 소비 부진으로 인해 기업들은 수요 감소로 인한 생산량 감소를 경험할 수 있습니다. 생산량의 감소는 고용 기회의 감소와 더불어 경제 활동의 감소를 야기할 수 있습니다.

    3. 경기 침체: 소비 부진과 생산 감소는 경기 침체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경기 침체는 경제 전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실업률의 상승, 기업의 파산, 소득 감소 등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4. 투자 감소: 사람들이 돈을 쓰지 않고 저축만 한다면 기업들은 투자를 억제할 수 있습니다. 투자는 경제 성장과 혁신을 촉진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따라서 투자 감소는 경제의 장기적인 성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사람들이 저축만 하고 돈을 쓰지 않는다면 경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소비 부진과 경기 침체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사람들이 저축에만 신경을 쓰게 되는 경우에는 시중에 유통되는 화폐의 양이 급속도록 감소하게 되면서 소비가 위축되면서 내수 경제의 침체가 발생하게 될 가능성이 높아지게 됩니다. 이런 것이 바로 일본의 경우인데, 일본은 부동산 버블 이후에 국민들이 저축에 열두하면서 결국 디플레이션의 수준까지 이르게 되어 잃어버린 30년의 경제라는 것을 겪게 되었다고 보시면 좋을 것 같아요

  • 안녕하세요. 손용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우선 저축만 하고 소비가 없어지면 은행에 돈이 계속 쌓이게 되고 시중에는 돈이 부족 해 집니다. 자금이 부족해 지면 소비가 줄어 들고 상품의 수요가 줄어 들면 기업들은 제품 생산에 문제가 생기고 공급도 줄어 들것 입니다. 그럼 경기는 침체 될 것이고 기어이 힘들어 지면 결국 기어에서 일하는 개인들도 경제적으로 힘들어 질 것 입니다. 결론은 저축만이 중요한 것이고 아니고 거시 경제적으로 볼 때 저축과 소비가 같이 일어 나는 것이 바람직한 현상이라고 보여 집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저축에만 신경을 쓴다면

    당연히 해당 국가는 소비가 위축되어

    디플레이션 등이 일어나 장기적인 경기침체가

    유발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