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생활

청소

현재도새로움이넘치는코브라
현재도새로움이넘치는코브라

도와주세요. 에어컨 청소 후 바로 냄새가 납니다.

3년 전 입주하면서 에어컨을 천장형으로 방마다 설치.

한 방을 짐을 쌓아둔 방으로 사용해 3년간 에어컨을 사용하지 않음.

분리 세척 업체 불러 청소 후 업체에서 22도 냉방으로 1시간 가동해 말리고 제가 별도로 송풍 1시간을 더 돌려 말림. 이때는 아무 냄새가 나지 않음.

그 후 20~25일 정도 지나서 처음 틀었는데 냄새가 나기 시작.

에어컨 덜말렸을때 나는 쉰내?가 아니라 다른 쿰쿰한 냄새가 남. (다른 방과 거실은 냄새가 나지 않음.)

냉방을 틀어도 나고 송풍으로 돌리면 더 많이 남.

처음엔 온도 18도로 내리고 강풍 틀다가 25정도로 맞춰서 가동함.

온도를 낮춰도 냄새의 정도가 약해지는듯 하지만 계속 24도 이하로 돌리기엔 무리라 24~25도로 맞춰 사용.

청소 업체에 문의하니 전혀 사용하지 않은 에어컨인데 청소 후 냄새가 난다니 청소 문제가 아니라고 as를 빋아보라함.

as기사님이 오셔서는 사용을 안해도 습기가 머물 수 있는데 그거 냉각기?? 거기에 붙어있다가 마르는게 반복되어 냄새가 고착되어 그런거라고 함.

송풍으로 환기 시키면서 계속 틀어서 냄새를 빼면서 쓸 수 밖에 없다하시는데 아이가 쓰는 방이니 그 냄새가 혹여나 곰팡이와 세균으로 인한 냄새는 일까 물으니 아니라고 하고 가셨지만 이 말이 맞을까요?

청소를 다시 받아봐도 똑같냐 물으니 이미 고착된 냄새라 청소로는 안빠질꺼라 말씀하시네요.

근데 청소 후 바로 말리려고 틀었을땐 왜 냄새가 안났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 비범한반달곰30
    비범한반달곰30

    청소 직후에는 냄새가 없었으나, 시간이 지나며 냄새가 발생
    이는 청소 과정에서 표면 오염은 제거됐지만, 내부 깊은 곳이나 배수관, 열교환기 등에 남아 있는 곰팡이·세균이 냄새의 근본 원인일 수 있습니다. 냉방·송풍으로 내부가 완전히 건조되지 않았거나, 청소 후 다시 습기가 차면서 냄새가 퍼질 수 있습니다.에어컨 사용 후에는 반드시 송풍 또는 자동 건조 기능을 이용해 내부를 완전히 건조시키는 습관을 들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