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기계공학 이미지
기계공학학문
기계공학 이미지
기계공학학문
올곧은키위83
올곧은키위8322.12.29

얼음같이 차가운것은 왜 혀에 잘 달라붙나요?

얼음이나 꽁꽁 얼어있는 아이스크림을

먹다보면 순간적으로 혀가 달라붙은

적이 많습니다

손으로는 얼음을 만져도 그렇지 않은데

왜 혀에만 그럴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얼음을 만지거나 혀에 붙이면 달라 붙는 이유는 얼음이 차갑기 때문입니다.

    얼음은 어찌되었던 영하 0도 이하를 유지하고 있을 텐데,

    손이나 혀에 있던 수분이 얼음과 만나게 되면 급속히 얼게 되어 착 달라붙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혀에는 수분이 있습니다. 이를 찬 얼음에 갖다 대면 혀의 수분이 순식간에 응결되기 때문에 혀와 얼음이 붙어버리는 겁니다. 강제로 떼면 위험합니다. 미지근한 물을 부워주시면 금빵 떼집니다.


  • 안녕하세요. 김태경 과학전문가입니다.


    얼음에 혀를 대면 침과 체온 때문에 얼음 표면이 살짝 녹아요. 그러곤 얼음의 차가운 온도 때문에 다시 얼면서 혀가 얼음에 달라붙는 거지요. 얼음뿐만이 아니에요. 추운 겨울 야외에 있는 철봉처럼 차가운 쇠에도 혀를 대면 얼어서 붙어 버리곤 한답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수분때문입니다.

    얼음에 혀를 가져다 대면 얼음이 혀의 체온으로 살짝 녹습니다.

    하지만 곧 온도가 떨어지며 다시 얼어버리는데요 그 과정에서 혀가 얼음에 붙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조은 과학전문가입니다.


    얼음이 혀에 닿아 녹았다가 다시 얼기 때문인데요. 차가운 쇠에 혀를 대도 같은 반응입니다. 얼음과 접촉하는 부위가 적기 때문에 그렇게 되는것이구요. 물에 젖은 손으로 얼음을 만져도 비슷한 원리로 손에 얼음이 붙기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