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의료상담

기타 의료상담

귀중한슴새70
귀중한슴새70

루게릭은 힘이 빠지면 다시 좋아지지 않나요?

성별
여성
나이대
22
기저질환
없음
복용중인 약
없음

20대 초반 여자입니다

제가 최근 한 달 정도 전신에서 근육이 한번씩 툭 툭 튀는 증상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중간에 일이주 정도 좋아졌었는데요 코로나 확진자가 많아지면서 스트레스를 엄청나게 받은 후로 증상이 다시 나타났고, 그 후로는 이게 루게릭일까봐 미친듯이 불안해서 스트레스가 극에 달하고 잠도 1시간도 못 잤습니다.

아직 이렇다 할 힘빠짐 증상? 은 없어요. 힘이 좀 없는 것 같아도 좀 쉬면 좋아집니다.

그런데 제가 요즘 왼쪽 팔에 힘이 좀 없는 것 같고 오른쪽 다리도 왼쪽보다 원래 근력이 없었어서(무릎 인대 수술한 적 잇음) 그런지 운동하면 좀 더 피로해지는 느낌인데, 주로 저녁에 팔 힘이 좀 없고 자고 일어나거나 몇 시간 TV 보면서 쉬면 다시 다른 쪽 팔이랑 별반 차이 없어지거든요. 다시 힘이 생기고 좀 피로했던 느낌도 사라집니다. 다리도 마찬가지입니다.

운동은 살면서 거의 안 했는데 요즘 건강해지려고 며칠째 홈트를 하고 있어요. 날이 갈수록 힘빠지는 느낌이 심해지거나 그런 증상은 없습니다. 그냥 똑같아요.

근육은 계속 종종 튀기는 하는데 월요일에 신경과에서 선생님이 증상 들으시고 손도 한 번 보시고 이상반사 검사(건반사, 바빈스키 등등 망치로 두들기시거나 하는 거) 몇 개 해보시더니 지극히 정상이라면서 근전도 검사는 안 하시고 신경계 비타민만 주셨거든요. 3일째 복용중인데 마음이 좀 편해져서 그런지 약이 잘 듣는 건지 전보다는 좀 덜 튀는 것 같은 느낌이 들어요. 기분 탓일 수도 있습니다. 물론 밤에 잘 때는 더 움찔하는 것 같긴 한데...그래도 그전에는 루게릭 걱정 때문에 스트레스가 극에 달했고 밤에 잠도 1시간 이상 못 잤거든요... 가슴이 너무 답답해서 ㅠㅠ 지금은 그래도 좀 잡니다.

아무튼 제 질문은, 1) 루게릭이면 힘빠짐이 이렇게 다시 금방 좋아지거나 근육이 늘어나거나 하지는 않는 거죠? 오히려 루게릭은 운동을 하면 할수록 안 좋아진다고 하던데... 맞나요?

그리고 2) 신경과 선생님께서 이상반사 검사(망치로 두드려보시는것) 해보시더니 정상이라고 하신 거면 루게릭 걱정 앞으로도 안 해도 될까요? ㅠㅠ..... 지금은 큰 힘빠짐같은 거 없지만 앞으로 생길까봐 너무 무섭고 항상 제 몸에만 집중하게 됩니다.. 맨날 힘이 빠지는지 아닌지만 느끼고 있어요 괜히 왼쪽 팔로 계속 물건 들어보고 운동하고.... 그래서 왼쪽 팔 근육이 뭉쳤을 정도입니다.. 이렇게 제 몸에만 신경쓰는 거 그만하고 싶어요 제발 답해주세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코로나 카테고리에서 활동중인 전문의입니다.

      1. 진행성 질환으로 좋아지기 어렵습니다.

      2. 의사의 정상이라는 소견을 믿지 않을거라면 병원에 가지 않는것을 권합니다.

      참조하시어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루게릭병은 운동신경세포만 선택적으로 사멸하는 질환으로 대뇌 겉질(피질)의 위운동신경세포(upper motor neuron,

      상위운동신경세포)와 뇌줄기(뇌간) 및 척수의 아래운동신경세포(lower motor neuron) 모두가 점차적으로 파괴되는

      특징을 보입니다. 임상 증상은 서서히 진행되는 사지의 위약(weakness, 쇠약) 및 위축으로 시작하고, 병이 진행되면서

      결국 호흡근 마비로 수년 내에 사망에 이르게 되는 치명적인 질환으로 일 년에 10만 명당 약 1~2명에게서 루게릭병이

      발병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루게릭병은 50대 후반부터 발병이 증가하며, 남성이 여성에 비해 1.4~2.5배 정도

      더 발병률이 높습니다.

      루게릭병의 발병 원인은 아직 밝혀져 있지 않지만, 전체 루게릭병 환자의 약 5~10%는 가족성 근육위축 가쪽경화증으로

      알려져 있고, 이 중 약 20%의 가족에서 21번 염색체에서 원인 유전자의 돌연변이가 확인되고 있습니다.

      신경전도검사 및 근전도검사를 통해 루게릭병을 확진할 수 있으며 루게릭병의 발병 원리 및 경과 등에 맞추어

      여러 가지 약물이 개발 중이지만 아직 확실하게 효과가 입증된 약제는 없는 상태입니다. 현재 유일하게 사용을

      인정받은 약물인 릴루텍 정(riluzole)은 생존기간을 수개월 정도 연장시키는 효과는 있지만, 삶의 질을 개선하거나

      근력을 회복시키는 데에는 아직까지 효과가 확인되지 않은 상태입니다. 감사합니다.

    • 1. 루게릭병은 근력 저하가 점진적으로 진행되는 질환이기 때문에 한 번 힘이 빠지기 시작하면 다시 금방 좋아지거나 이전의 근력으로 돌아올 수 없습니다.

      2. 예 크게 걱정 안 하셔도 될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권준구 의사입니다.

      건강염려증이 있으신 거 같습니다. 말씀하신 대로 루게릭병이 있다면 악화되는 코스를 밟게 되는데 현재 호전되고 있으므로 가능성은 매우 낮으며 전문가인 신경과 전문의가 신체검사를 하고 정상반사를 보인다고 하고 있습니다. 근연축의 경우 피로하거나 스트레스가 있는 경우 생길 누구나 생길 수 있습니다.

      너무 심각하게 생각 하지 마시고 밤에 푹 주무시고 영양섭취를 잘 하시면 호전될듯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