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토목공학 이미지
토목공학학문
토목공학 이미지
토목공학학문
떡뚜꺼삐
떡뚜꺼삐23.03.20

밀물과 썰물에 대해 궁금한게 있어요.

밀물은 나갔던 물이 다시 밀려 들어오는 물이구요, 썰물은 밀려 나가는 물을 말하는데요, 썰물때 바닥이 드러나는것은 밀썰물이 아닐때 수심이 몇m이하 일때 바닥이 드러날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9개의 답변이 있어요!
  • 밀물로 해수면이 가장 높은 때를 ‘만조’, 썰물로 해수면이 가장 낮은 때를 ‘간조’라고 하고 이 때의 높이 차이를 ‘조차’라고 합니다.


    이러한 현상은 모든 바다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지만 우리나라는 남서해안 지역에서 조수간만의 차가 더 크게 나타납니다.


    동해는 남부 울산, 부산 등지를 제외하고는 조차가 매우 작아, 대체로 10 ­20 cm 이내라고 합니다. 서해는 상대적으로 큰 조차를 보이는데, 9.5 m 정도 이며 최대 10m 라고 합니다.


    조석파 키워드로 검색하시면 관련자료를 찾아볼 수 았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썰물의 수심이 얼마나 낮아야 바닥이 드러나는지는 여러 요인에 따라 다릅니다. 수심이 낮은 해안 지역이나 강 하구 지역에서는 조금만 수심이 얕아져도 바닥이 드러나는 경우가 많지만, 바다나 호수 같은 큰 물에서는 수심이 깊어도 바닥이 드러날 수 있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말하면, 바닥이 드러나려면 수심이 약 1.5~2m 이하여야 합니다. 이는 바닷물이 맑은 경우를 가정한 값이며, 물이 탁한 경우에는 더 낮은 수심에서도 바닥이 드러날 수 있습니다. 또한, 조류나 파도, 해수면 상승 등의 외부 요인에 따라 수심이 바닥이 드러나는 시점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바닥이 드러날 수 있는 수심은 다양한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기 때문에 정확한 수치를 말하기는 어렵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3.20

    안녕하세요. 김경욱 과학전문가입니다.

    밀물과 썰물은 조금씩 차이가 있기 때문에 같은 수심에서도 바닥이 드러날 수 있는 시간이 다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바닥이 드러나는 수심은 밀물과 썰물 상태에 따라 다릅니다.

    밀물 때의 수심과 썰물 때의 수심을 측정하여 차이를 계산해보면 약 3~4m 정도로 알려져 있습니다.

    하지만 이는 일반적인 평균값으로, 실제로는 지역별, 해변의 지형, 날씨, 밀물과 썰물의 시간대 등에 따라 바닥이 드러나는 수심이 다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확한 수심은 해당 지역의 조건을 고려해 측정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밀물과 썰물은 달과 태양의 중력에 의해 생기는 현상입니다. 밀물은 해수면이 높아져 해안의 바닷물이 육지 쪽으로 들어오는 것을 가리키고, 썰물은 해수면이 낮아지면서 바닷물이 빠지는 현상을 말합니다. 밀물로 해수면이 가장 높은 때를 ‘만조’, 썰물로 해수면이 가장 낮은 때를 ‘간조’라고 하고 이 때의 높이 차이를 ‘조차’라고 합니다. 조차는 지역마다 다르며, 일반적으로 1~2m 정도입니다. 그러나 펀디 만 같은 곳에서는 조차가 16m에 달하기도 합니다.

    따라서 썰물 때 바닥이 드러나는 것은 수심과 조차에 따라 다릅니다. 예를 들어 수심이 3m인 곳에서 조차가 2m라면 썰물 때 바닥이 드러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수심이 5m인 곳에서 조차가 2m라면 썰물 때에도 바닥이 드러나지 않습니다. 그리고 밀썰물은 밀물과 썰물의 중간 시점을 말하는 것으로, 이 때는 수심 변화가 거의 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준엽 과학전문가입니다.

    썰물과 밀물은 해수면의 상승과 하강을 말합니다. 이러한 조절은 달과 태양의 중력에 의해 지구와 해수면 간에 작용하는 조력에 따라 발생합니다.

    밀물과 썰물이 일어나는 때에 따라 해변의 바닥이 드러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바닥이 드러날 때의 수심은 일정하지 않습니다.

    밀물 때 해변에서 바다로 향하는 물의 양이 가장 많기 때문에 바닥이 가장 깊게 잠긴 상태입니다. 그리고 썰물 때는 바닥이 드러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수심이 얕아집니다. 그러나 바닥이 드러나는 수심은 다양한 요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해변의 지형, 해수면의 상승과 하강, 풍랑, 조류 등 모든 요인이 바닥이 드러나는 수심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바닥이 드러나는 수심은 지역에 따라 다르며, 밀물이나 썰물에 관계 없이 다양한 상황에서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설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달과 태양의 인력과 원심력, 즉 달과 지구가 회전운동할 때 생기는 것으로 지구로부터 달아나려고 하는 힘에 의해 발생한다. 달쪽을 향한 바닷물이 달의 끌어당기는 힘에 의해 부풀어 오를 때 반대편 지구의 바닷물은 원심력에 의해 부풀어 올라요


  • 바닷물은 지구상의 대기, 땅, 산악에서 발생한 물이 강, 하천, 지하수 등을 통해 바다로 흘러들어가고, 바닷물에서는 증발이 일어나 대기 중의 수증기로 전환됩니다. 이렇게 바다와 대기 간에 계속해서 수분이 교환되면서 바닷물의 양은 유지됩니다. 이러한 수문학적 과정 외에도 지각 변동, 즉 대륙 이동, 지진, 화산 폭발 등 지구의 지각적 변화로 인해 바닷물의 양은 변화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변화는 시간이 걸리며 큰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해안가의 모습에따라 다릅니다.

    서해안의경우 수심이 낮고 넓게펼쳐져있어, 썰물때 많게는 3키로미터 멀리까지 후퇴합니다.

    반면 동해안에서는 수심이 깊어 수위가 크게변화하는 식으로 작용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한 과학전문가입니다.

    질문하신 사항과 관련해서는 아직까지는 명확한 기준은 없습니다. 이는 서해와 동해의 깊이가 다르고 지역마다 다르기 때문에 기준을 만들 수는 없는 상황입니다.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어떤 연구나 규명이 필요한 사항이 아니기 때문에 그런 기준은 필요하지 않다고 생가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