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관세 정책에도 8월 자동차 수출이 8프로 이상 늘어난 원인은 무엇인가요
우리나라 자동차 기업들이 미국의 자동차 관세 정책에도 8월 수출이 8프로나
늘어났다고 하는데요 이렇게 관세 정책에도 자동차 수출이 늘어난 원인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이에 대하여는 여러가지 원인이 있을 듯하나 현지에서는 통관을 하지 않고 일단 국내에서 수출을 한 것이 아닐까 싶습니다. 특히 현재 관세가 낮아질 것으로 예상되는데 필수물량을 제외한다면 굳이 빠르게 통관을 할 필요가 없기에 이러한 부분이 더욱 부각되는 것으로 판단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박현민 관세사입니다.
미국의 관세 정책이 여전히 변수로 작용하지만 한국산 자동차 수출이 늘어난 데에는 몇 가지 배경이 있습니다. 전기차와 친환경차 중심으로 미국 내 수요가 크게 늘었고, 현대차나 기아 같은 기업들이 현지 생산과 수출을 병행하며 대응력을 높인 것도 영향을 줬습니다. 또 엔고와 달러 강세로 가격 경쟁력이 상대적으로 좋아진 점, 그리고 북미 공급망 재편 과정에서 한국산 차량이 안정적 대체재로 선택받은 점도 수출 증가의 중요한 이유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치호 관세사입니다.
국이 관세 압박을 거는 와중인데도 우리나라 업체들이 선방한 건 몇 가지 이유가 섞여 있습니다. 우선 환율 효과가 꽤 컸습니다. 달러 강세가 이어지면서 가격 경쟁력이 자연스럽게 높아졌습니다. 또 전기차나 하이브리드 같은 친환경 모델이 미국 시장에서 인기를 끌고 있다는 점도 한몫했죠. 브랜드 신뢰도나 품질 이미지가 예전보다 훨씬 좋아진 것도 무시할 수 없습니다. 게다가 미국 내 생산시설 확대 움직임이 안정감을 준 것도 있고요. 관세 장벽이 분명한 부담인데도 수요 자체가 워낙 살아 있어서 결과적으로 수출은 늘어난 흐름으로 나타난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
우리나라의 자동차 수출은 대미 수출에 많은 의존도를 보이고 있으나, 미국 외에도 유럽이나 아시아 등 다른 시장에서의 판매 호조가 있었던 것으로 보입니다.
https://www.yonhapnewstv.co.kr/news/AKR20250901090817048
앞으로의 자동차 수출 전략에 있어서도 SUV, 전기차 등 고부가가치 차량 수출 및 미국 시장 의존도 분산 전략 등을 지속적으로 활용할 것으로 보입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이현 관세사입니다.
우리나라 자동차 수출은 7월 8.8% 증가하였습니다. 신차 수출도 1년 전에 비해 5.8% 늘어난 21만 2천대를 기록하며 수출액과 함께 동반성장했습니다. 이는 유럽과 아시아 수출이 늘면서 전체 자동차 수출이 증가했습니다.
자동차 수출은 EU에 7억 1천만 달러로 32.7%, 기타 유럽에는 6억 3천만 달러로 78.7% 각각 증가했습니다.
친환경차와 중고차 수출확대가 증가세도 견인했습니다.
다만, 미국 수출은 1년 전에 비해 4.6% 감소했습니다. 3월 이후에는 감소 지속세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