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을에 단풍이 들면, 광합성하는 양도 줄어들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나무와 같은 식물들은 엽록소로 인해 초록색을 띄는데요
근데 가을이 되면 단풍이들며 이 초록색이 빨간색으로 변하던데...
그럼 광합성을 못하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단풍이 드는 과정에서 나무는 엽록소를 분해하기 시작합니다. 엽록소는 잎이 그 특유의 초록색을 유지하게 해줍니다. 가을이 되면서 날씨가 추워지고 일조량이 줄어들면, 식물은 이 비효율적인 광합성 과정을 점점 중단하고 엽록소의 생산을 줄입니다. 엽록소가 분해되면서 보통 잎 속에 존재하지만 엽록소에 의해 가려졌던 다른 색소들이 나타나기 시작합니다. 이 색소들에는 카로티노이드와 안토시아닌이 포함됩니다. 카로티노이드는 노란색과 주황색을, 안토시아닌은 빨간색과 자주색을 나타냅니다.1명 평가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
시간이 지나 엽록소가 점점 파괴되면서 그만큼 광합성양은 줄어들게 됩니다.
그리고 잎이 낙엽이 되어 모두 떨어지면 광합성은 중단되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겨울의 수분부족이 낙엽이 만들어지는 주된 이유라고 할 수 있습니다.
나무는 겨울이 다가오면 잎으로 가는 수분을 차단합니다.
때문에 잎은 시간이 지날수록 산화되고 이 결과 엽록소가 파괴되고 단풍이 집니다.
겨울은 춥고 물을 구하기 힘든 계절입니다.
잎은 수분이 많이 빠져나가는 장소이고, 광합성에도 물이 필요합니다.
낙엽의 생성은 나무가 겨울을 나기위한 준비를 하는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네, 가을에 단풍이 들면 광합성량이 줄어듭니다.
낮의 길이가 짧아지고 온도가 낮아지면서 잎 속의 녹색 색소인 엽록소가 분해됩니다. 엽록소는 광합성에 필수적인 색소이므로, 엽록소가 줄어들면 자연스럽게 광합성량도 감소하게 됩니다.
그리고 엽록소가 줄어들면서 그동안 엽록소에 가려져 보이지 않던 노란색, 주황색, 붉은색 색소들이 드러나게 되어 잎의 색깔이 변하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잎이 붉게 변하는 것은 기온이 저하되며 엽록체 안에 있는 녹색 엽록소의 생산이 멈추며 분해되기 때문입니다. 그러면서 엽록소에 가려져 있던 주황빛 혹은 노란빛을 내는 카로티노이드계 색소와 붉은 계열로 보이는 안토시아닌 이라는 색소가 드러나기 때문인데요. 그러면서 자연스레 광합성 량이 감소하게 되고 식물은 추운 날씨에 생장하기 보다는 양분을 보호하는 방향으로 생존하게 됩니다.
단풍이 생겼다가 날씨가 더욱 추워지면 잎과 가지 사이에 팩틴과 같은 분해 효소가 발현하며 잎속 영양분을 줄기로 옮긴 후 잎을 가지로 부터 떨어뜨려 생존하게 되는데요. 이것이 바로 낙엽입니다.
안녕하세요. 네, 맞습니다. 겨울은 식물의 입장에서는 광합성이 일어나기에 매우 불리한 조건이라 잎을 가지더라도 광합성을 통해 만들 수 있는 영양분은 여름에 비해 훨씬 적습니다. 따라서 가을철 단풍은 나뭇잎이 더 이상 활동하지 않게 되어 나타나는 현상인데요, 잎이 활동을 멈추면 엽록소가 파괴되고 자가분해가 진행됩니다. 이때 엽록소의 자가분해과정에서 안토시아닌이 생성되는 종은 붉은 색 또는 갈색 계열의 단풍이 들게 되는 것입니다.
가을에 단풍이 들면 엽록소가 분해되어 광합성 양도 줄어듭니다. 엽록소는 광합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이 과정이 멈추면 나무는 에너지를 저장하기 위해 남은 기간 동안 준비를 합니다.
안녕하세요. 홍성택 전문가입니다.
가을에 나무의 잎이 빨간색, 주황색, 노란색 등 다양한 색으로 변하는 것은 엽록소의 양이 줄어들고 다른 색소인 카로티노이드와 안토시아닌이 드러나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색소들은 엽록소와 함께 작용하여 나무가 광합성을 계속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따라서 가을에 단풍이 들더라도 나무는 광합성을 계속하며 생존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