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용한 adhd 결론이 뭘까요??
여러 글들을 보면서 증상은 알겠는데 전부다 증상만 얘기하고 영~~ 실제적인 사례들이 제대로 다뤄지지 않아서 크게 뭐 엄청 나쁜건지는 모르겠어요
결과는 어떻게 되어지는걸까요??
실제사례를 바탕으로 얘기해주면 고맙겠습니다
안녕하세요. 박상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조용한 adhd의 경우에는 공상을 하는 경우가 매우 많고
아이들이 조용하고
대부분 학습능력이 떨어지는 경우가 많고
이해도도 떨어지는 경우가 많다고 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정훈 심리상담사/경제·금융/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성인 ADHD는 이러한 증상을 유년기에 치료하지 못해 다 크고 나서도 그대로 앓고 있는 경우를 일컫습니다. 또한, 위의 증상에 해당하지 않아 어린 시절 ADHD를 진단받지 못했던 조용한 아이들이 성인이 되고 나서야 알게 되는 병이기도 합니다.
학창시절은 제대로 된 친구 없이, 남들 보통만큼만 하자며 고군분투하는 하루를 보낼 수도 있으며 성인이 되면 좀 더 나은 사람이 될 줄 알았지만 여전히 기본적인 일에서 나도 모르게 실수를 하고, 상대방의 말이 한 번에 이해되지 않아 두 번은 계속 물어봐야 할 수 도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전지훈 심리상담사/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래 링크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약물만 증상에 맞게 꾸준히 복용해도 학습기술이 향상될 수 있음을 보여줌으로써 ADHD 약물치료의 다양한 효과와 필요성을 확인해 준 것이라 할 수 있다.
출처 : 병원신문(http://www.khanews.com)안녕하세요. 성문규 심리상담사/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짓문의 내용이 잘 이해가 가지 않습니다 ㅜ 어떤 결과의 추론을 원하시는지 잘 이해가 되지않아 재질문해주시면 다시 답변드리겠습니다
안녕하세요. 강신영 심리상담사/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ADHD는 집중을 잘 못하고, 기억이 잘 안되는 것들이 있을 때 의심을 하게 됩니다. 만약 검진 결과 ADHD라고 결과가 나왔다면, 이와 관련한 전문적인 치료를 받으셔야 합니다. ADHD를 적절하게 치료를 하지 않는다면 집중력과 기억력이 점점 안좋아 질 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ADHD에 대한 정확한 진단이 필요합니다. 진단 후 ADHD 치료에서는 집중력향상과 뇌기능 향상 치료로 이러한 증상을 호전시킬 수 있기 때문에 검사를 한 전문의 또는 전문상담사와 함께 전문적인 치료를 받아보시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이찬로 심리상담사/육아·아동전문가 입니다.
조용한 ADHD는 주로 여자 아이들에게서 많이 나타나며,
공상이 많고 조용하며, 학습능력이 떨어지고 이해도가 저하되는 것은 물론
감정 변화가 심하다고 합니다.
어디까지나 평균적이 이야기이므로
참고 정도만 하시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조용한 adhd의 증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1. 평균 집중력 유지 시간보다 상대적으로 짧은 모습을 보입니다.
2. ADHD라고 해도 평소 좋아하는 것에 대해서도 집중력이 유지되는 편입니다.
3. 조용한 ADHD는 좋아하는 것이라고 해도 집중력 유지가 상대적으로 어렵습니다.
4. 아는 문제도 실수로 자주 틀립니다.
5. 과제나 놀이를 할 시 지속적인 집중 어렵습니다.
6. 자주 말해도 귀 기울여 듣지 않습니다.
7. 학습하거나 다른 일을 할 때 마무리를 못 할 때가 많습니다.
조용한 ADHD 증상 심해지면 증상이 어느 수준 이상으로 진행되면 집중력이 많이 떨어집니다. 학습 부진 등으로 이어지다 보니 뒤늦게 인식할 수 있으며 뒤늦게 인식하게 되면 적절한 치료 시기가 지연됩니다. 이로 인해 학업 성적 저하로 인한 자신감이 낮아지고 우울하거나 또래 관계를 기피하는 모습을 보이기 때문에 평소에 아이를 관찰하는 게 중요합니다.
또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활동을 끝까지 마치기 힘들어 합니다.
2. 집중시간이 짧고 놀이의 순서 규칙을 놓칩니다.
3. 스스로 돌보는 기본적인 행동 잘하지 못합니다.
4. 정리정돈이나 학교 과제에 집중하지 못합니다.
5. 조용한 일을 할 때 꼼지락거립니다.
6. 주의를 줘도 다른 사람을 방해하는 행동을 멈추지 못합니다.
7. 특별한 상황이나 원인이 아닌데도 안절부절못합니다.
조용한 ADHD의 경우 과잉행동이나 산만함이 없다 보니 큰 문제가 없다고 착각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또 수업 시간이나 과제 수행 시 집중하지 못하여 학업에도 영향을 줍니다. ADHD인 줄 인식하지 못하다 보니 지능이 낮거나 성실하지 못하는 등의 오해를 사기도 하여 아이가 힘들어 할 수 있으므로 의심스럽다면 검사 이후 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출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