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가설 피크차이나론에 힘을 받는 이유가 뭔가요?
중국에 대한 경제가설 피크차이나는 중국 경제가 정점을 찍고 이제 내리막길로 들어섰다라는 것이잖아요.
일시적인 현상이 아니라 장기적으로 침체될 것이라고 보는 근거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병섭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중국 경제의 장기 침체를 전망하는 '피크 차이나' 가설의 주된 근거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인구구조 변화
- 출산율 하락으로 생산가능인구 감소, 고령화 가속화
- 노동력 부족, 부양비 증가로 성장잠재력 약화
2. 중진국 성장 늪
- 중진국 단계에서 혁신 동력 부족으로 저성장 지속
- 임금상승으로 노동집약적 제조업 경쟁력 하락
3. 과도한 부채 누적
- 기업, 지방정부, 가계 부문의 높은 부채비율
- 부실 위험에 따른 금융시스템 불안 초래
4. 환경오염 문제
- 급속 경제성장으로 인한 환경오염 심각
- 이를 해결하기 위해 성장 희생 불가피
5. 대외 갈등 고조
- 미중 무역분쟁, 첨단기술 견제 등 갈등 지속
이에 따라 중국은 고도성장 시대를 지나 '신중상주의'에 빠질 것이라는 견해입니다. 극단적 위기설까지는 아니지만 장기 저성장 기조가 이어질 수 있다고 봅니다.
다만 이에 대한 반론도 있습니다. 시진핑 정부의 개혁개방 지속, 기술혁신 기반 등에 따라 중기적으로 성장세를 유지할 수도 있다는 것입니다. 중국 경제 전망에는 아직 불확실성이 높은 상황입니다.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중국이 그동안 쾌속 성장하는 데 가장 큰 동력이었던 ‘인구’가 빠르게 감소하고 있다. ‘부동산 버블’로 인해 지방 정부와 기업의 부채 또한 뇌관이다. 미·중 갈등이 지속되면서 외국인 투자가 크게 줄고 있고 첨단 산업의 성장 또한 둔화되는 추세다. 중국의 경기 둔화가 장기화한다면 이는 더 이상 중국 만의 문제가 아니다. 세계 시장에서 중국이 차지하는 비율이 매우 높기 때문이다. 중국 내수 소비력이 축소되면 세계 제조업계가 불황에 빠질 수 있다. 글로벌 경제에 직격탄이 될 수 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아무래도 중국의인구수가 줄어들고
더불어서 중국의 부동산 위기가 심각하고
각종 기업들이 중국을 떠나는 등 이에 따른 피크차이나 론이 나온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이동하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피크 차이나론이란 지난 40여 년 동안 부상해 온 중국이 이제 성장의 한계에 다다랐다는 이론입니다.
중국의 강점이었던 인구가 감소세로 전환되면서 자원의 대외의존도 심화, 미국의 첨단산업 견제 등도 가세하면서 중국이 성장한계에 직면하였기 때문입니다.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중국의 부동산 PF 이슈가 생각보다 규모가 큰 것에 비해서는 이슈화 된 것이 매우 적습니다.
이는 지방정부의 빚까지 동원하여 막아놓은 것인데 이것에 대한 가계경제 부담이 실제로 더 큰것으로 보입니다.
또한 중국의 소비가 꺾인 것이 보이고 글로벌 공장역할을 인도에 빼앗기면서 향후 경제가 매우 어둡기 때문입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피크 차이나에 대한 이론이 힘을 받는 것은 그동안 중국의 경제성장을 빠르게 이끌었던 것이 부동산이었다는 점과 부동산이 경제성장을 주도할 때 다른 부가가치 산업의 발달이 이루어져 뒷받침을 해주어야 했지만 미국의 견제로 인해서 제대로된 발전을 하지 못해서 부동산의 장기침체로 전환되어 중국 경제의 발전을 더이상 이끌지 못하게될 것이라는 점이에요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질문하신 피크차이나론에 대한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피크차이나론은 언급하신 것처럼 중국 경제가 정점을 찍고 내리막 길에 들어섰다는 이론으로
이는 중국 내에서 일어나는 인구 감소, 고령화, 부동산의 위기, 그리고
경제 성장 잠재력이 약화 되는 등 구조적인 한계에 이르렀다는 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