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의료상담

신경과·신경외과

꼼꼼한호돌이56
꼼꼼한호돌이56

심장 초음파 결과지 해석 부탁드립니다.

성별
남성
나이대
55

안녕하세요.

5개월만에 받은 심장 초음파에서 EF수치가 너무 차이가 나 정확한 해석이 궁금하여

선생님들의 현명한 답을 듣고자 질문 드립니다.

병원은 각각 다른 병원입니다.

B병원에서 한 bi-plane 측정값이 2D랑 다르다는 말을 하시는데 도무지 이해가 안되네요.

도와 주세요.

21년 11월 A 병원

ㅡ Normal LV cavity dimension with normal systolic function ; calculated EF 70%

Normal LV wall thickness

Normal cardiac valves

Normal LV diastolic function

No intracardiac mass, thrombi nor pericardial effusion

22년 4월 B병원

ㅡ Reduced LV systolic function (EF: 45% by 2D measurement, 50% by volumetry)

:Overestimated LVEF by bi-plane method because the method cannot reflect

anteroseptal wall motion

Normal sized cardiac chambers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코로나 카테고리에서 활동중인 전문의입니다.

      22년 4월 측정한 값은 2차원적으로 측정된 값이기 때문에 한 축으로의 평가는 적절하게 이루어지지 않았을 가능성이 있다.

      라는 뜻이 적혀있습니다. 즉 검사 결과의 신뢰도가 충분치 않다 라는 이야기입니다.

      참조하시어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오현수 의사입니다.

      EF(Ejection fraction)는 심장이 혈액을 뿜어낼 후 있는 수준을 말하는데요, 11월에는 70%였지만, 올해 4월에 측정한 것은 2D 기법으로 촬영한 것으로 전 격벽(anteroseptal wall) 의 운동 자체를 명확히 반영할 수 없어 EF이 45%로 측정되었다는 것을 말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질문자 분의 증상이나, 기존 상태 및 현재 상태 그리고 초음파 자체를 직접 본것이 아니기에, 담당의로부터 실제 EF가 감소한 것으로 보아야 하는 것인지에 대한 설명을 들어보시면 더 명확히 파악이 가능할 것 같습니다.

      답변이 도움되었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Biplane을 이용한 modified Simpson method는 일반적으로 시행하는 Echo를 이용한 LV EF 측정 방법으로 A 보다는 B가 좀 더 정확한 검사법이라고 판단됩니다. 오히려 A의 70% 는 나이에 비해 과도하게 측정된 경향이 있으며 45%에서 50%가 맞는 EF 값으로 보이는데 Wall motion 장애 등 심근벽에 이상이 없다면 낮은 수치라고 생각할 수는 없을 것으로 보이며 협심증의 있는 경우, 6개월.간격에 확인이 필요한 것으로 보입니다.

    PC용 아하 앱 설치 권유 팝업 이미지장도연이 추천하는 아하! 앱으로 편리하게 사용해 보세요.
    starbucks
    앱 설치하고 미션 완료하면 커피 기프티콘을 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