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문
적설량과 강수량의표기법이 다른 이유는요?
여름철에 내리는 비의 량을 말할때 밀리미터로 말하고 겨울철에 내리는 눈의적설량을 말할땐 센치미터라 하는데 다르게표기하는 이유를 알고싶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적설량과 강수량의 표기법이 다른 이유는 각각의 측정 방법과 특성 때문입니다.
적설량은 눈이나 얼음으로 쌓인 눈의 두께를 나타내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센티미터단위로 표기됩니다. 적설량은 주로 기상 관측소에서 눈이나 얼음 측정기를 사용하여 측정됩니다. 눈이나 얼음은 고도나 온도 등의 요인에 따라 밀도가 다르게 형성되므로, 그 두께를 측정하여 적설량을 파악합니다.
반면, 강수량은 비, 눈, 우박 등의 모든 형태의 수분을 나타내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밀리미터단위로 표기됩니다. 강수량은 비온 또는 녹은 눈의 수분을 측정하여 얼마나 많이 내렸는지를 나타냅니다. 강수량은 우량계나 강수계 등을 사용하여 측정됩니다.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적설량은 눈이 쌓인 높이이고 강수량은 눈의 경우라면 눈이 녹은 후의 물의 높이입니다.
그 정도가 다르긴 하지만 1cm의 적설량은 약 1mm의 강수량과 비슷할 정도로 10:1의 부피차이가 생기기 때문에 사용하는 단위도 다른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적설량과 강수량의 표기법이 다른 이유는 눈과 비의 밀도가 다르기 때문입니다. 눈은 비보다 밀도가 낮기 때문에 같은 양의 눈과 비를 비교하면 눈이 더 많은 부피를 차지합니다. 따라서 눈의 적설량은 센티미터로 표기하고 비의 강수량은 밀리미터로 표기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