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주식을 할때 자주 듣게 되는 SPAC은 무슨 뜻인가요?
해외주식을 할때 SPAC으로 어떤 회사가 상장을 한다고 많이 들었는데, SPAC은 무엇이고, 그것을 통해서 상장을 한다는 의미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우리나라 주식을 할때는 들어보지 못한 말이라서 생소해서 더욱 더 궁금해집니다. 답변 부탁드릴께요.
국내에서도 상장된 스팩이 많이 있습니다.보통 상장가는 2천원으로 시작을 합니다..스팩은 기업인수목적으로
비상장기업과 인수합병을 목적으로하고 있으며 상장후 3년이내에 비상장 우량기업을 찾지못하면 소멸되고 투자금은 소정의 이자 및 원금과 함께 지급이됩니다. 보통 주식은 해당기업이 있는데 스팩은 기업이 없는 페이퍼컴퍼니라고 부릅니다.
안녕하세요. 곽주영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SPAC(Special Purpose Acquisition Company)은 비상장기업 인수합병을 목적으로 하는 서류상 회사입니다.
공모로 액면가에 신주를 발행해 다수의 개인투자자금을 모은 후 상장한 후 3년 내에 비상장 우량기업을 합병해야 합니다.
기간 안에 합병에 성공하면 투자자들은 비상장이던 우량기업이 상장되면서 가격이 오른 주식을 팔아 이익을 남길 수 있지만
실패 시 큰 손실을 볼수도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SPAC은 비상장기업 인수합병을 목적으로 하는 페이퍼컴퍼니입니다.
주식이 상장되어 신주로 발행되고 이에 개인 등 투자자금을 모은 후에
비상장된 기업과 합병하게 되는 것이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이정훈 심리상담사/경제·금융/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PAC이란? SPAC이란 Special Purpose Acquisition Company의 약자로 기업인수목적 회사를 뜻합니다. 영업활동을 하지 않으며 오로지 기업의 인수합병을 목적으로 하기 때문에 blank check company 또는 Shell company라고도 불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