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인이 김을 못먹는 이유는 진짠가요?
외국인들은 김을 싫어하는 경우가 있는데
소화를 못하니까 인가요?
한국인의 경우는 김을 소화하는 미생물이 있다고 들었는데
언제부터 생긴건가요?
안녕하세요. 김철승 과학전문가입니다.
외국인이 김을
못 먹는다는 것은 사실이 아닙니다.
실제로 많은
외국인들이 김을 즐겨 먹습니다.
하지만 일부 외국인이
김을 좋아하지 않는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김은 특유의 맛과 향이 강합니다.
이 맛과 향이 일부 외국인에게는 낯설거나 불쾌하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김은 얇고 바삭한 식감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식감이 일부 외국인에게는 호불호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김은 한국의 전통 음식입니다.
서양 문화에서는 김과 비슷한 음식이 많지 않기 때문에 일부 외국인들은 김에 익숙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과거에 김을 먹고 나서 좋지 않은 경험을 한
외국인은 김을 좋아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외국인이 김을 못 먹는다는 것은 사실이 아닙니다.
일부 외국인이 김을 좋아하지
않는 이유는 맛, 향, 식감, 문화적 차이, 개인적 경험 등이 있을 수 있습니다.
답변이 마음에 드셨다면 좋아요와 추천을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황정웅 과학전문가입니다.
한국인에게 김을 소화하는 미생물이 있다기보다는
오래전부터 해조류를 주식으로 하는 동아시아인들에게 해조류를 소화하는 세균이 장에 서식하고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습니다.
다만 김도 해조류로써 식물처럼 섬유질을 가지고 있어
소화가 잘 되지 않는 음식은 맞습니다.
다만 채소에도 다량의 섬유질이 포함되어 소화가 잘 되지 않는 것은 비슷합니다.
외국인이 김을 싫어하는 경우는
소화가 안되어서라기보다는
익숙하지 않은 음식에 대한 거부감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하지만 최근은 김도 글로벌 푸드로써
서양에서도 인기가 늘고 있다고 합니다.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한국인이 김을 소화하는 이유는 유산균과 같은 미생물이 김치를 소화하는 데 도움을 주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미생물은 한국인이 김을 소화하는 능력을 향상시켰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김을 소화하는 미생물이 언제부터 생겼는지 정확히 알 수는 없지만, 한국인이 오랫동안 김을 소비해온 역사적인 배경이 있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안녕하세요. 박성학 과학전문가입니다.
한국인을 비롯한 일본 해안이나 동아시아 사람들은 수천년전부터 해조류를 먹어왔기 때문에 장내세균이 해조류를 소화해 섭취할 수 있도록 유전적 업그레이드가 됐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