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예금·적금 이미지
예금·적금경제
예금·적금 이미지
예금·적금경제
기막힌왈라비249
기막힌왈라비24923.10.26

미국금리상승에도 한국이 금리를 동결하는 이유가 뭔가요?

미국이 계속해서 금리를 올려서 현재 금리가 5%가 넘는데 한국은 올해 수차례 금리를 동결하여 미국과의 금리차이가 2%이상인데요. 이러한 역대급 금리차에도 불구하고 한국은행에서 금리를 동결하는 이유가 뭔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권용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가계부채가 많아서 입니다. 금리를 올리면 가계부채 증가에 결정적인 역활을 하게 됩니다. 그리고 현재 자영업자들도 부채 증가에 문제가 발생하고 있어 연쇄 부도의 위험도 생길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미국이 기준금리를 인상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는 금리를 인상하지 못하고 유지를 하고 있는 것은 우리나라의 부채비율이 매우 심각하기 때문에 금리를 인상하게 되는 경우 부채로 인해서 경제위기 발생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금리를 인상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에요


  • 안녕하세요. 이동하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우히나라는 미국과 달리 기준금리를 지속적으로 동결하는 이유는 물가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가 많아졌을 뿐만 아니라, 물가 안정보다 경기가 나빠지는 것을 우려하기 때문입니다.

    현재, 가계 빚이 증가세에 있기 때문에 금리 인상에 무리가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한국은 미국대비해서 물가인상보다 경기침체가 심하고, 가계대출 이자도 증가하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와 같은 경우에는

    아무래도 현재 부동산 시장이 좋지 않고

    가계부채도 상당한 등 하여 금리를쉽사리 못올리는 것으로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정민교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한국은행의 목표 중 하나는 물가 안정입니다

    현재 심화되고 있는 인플레이션을 감안하면 금리 인상을 통해 물가상승률을 압박하는 정책이 타당하나

    이번 금리 동결에는 부채발 경기 침체를 우려한 듯 합니다

    경제가 하강 곡선이 예상되는 상황에서 금리 인상은 투자 감소, 기업 경영 활동 위축, 고용 감소, 가계 소비 감소, 경기 침체 라는 악순환을 발생시킬 수 있습니다

    아울러, 한국은행의 기준 금리 동결에도 시장의 실질 금리는 상승하고 있다는 점입니다

    한국은행이 기준 금리를 올리지 않아도 실질 금리 상승으로 긴축이 가능한 점을 눈여겨 본 듯 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재오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미국과 금리차가 2% 가량 벌어졌지만, 한은이 기준금리 인상를 결정하지 못하는 것은 가계 및 기업부채 리스크 때문입니다.

    현재 가계의 경우 부동산 담보대출이 과도하게 실행된 영끌이 불러올 부동산 가격 급하강 문제 등과 기업의 원리금 상환금액 상승으로 연쇄적인 파산 문제 등이 현재 금리를 쉽게 올리지 못하는 이유 중 하나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경기침체가 급속화 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라는 것은 표면적인 것이고

    실질적으로 정치적 압박일 것으로 예상됩니다. 내년 4월 총선까지 버티려는 것이죠.

    총선 전에 올려서 부동산 폭락하고 경기침체가 가속화되면 표심을 잃기 때문에

    자기네들입장에서는 무조건 막을 수 밖에 없습니다.

    대부분 전문가분들도 금리 격차가 2%는 안된다고 말하고 있는데 이유는 경제 성장률이 급격하게 줄어듭니다.

    화폐가치 폭락으로 물가는 상승하며 무역적자는 지속될 것이고 스테그플레이션이 발생하여 정말 큰 피해를 입을 수도 있습니다.

    속이 망가진 것을 부수고 새로 지어야하는데 그걸 겉으로 대충 떼우고 있으니 결국 버블만 커지고 있다고 보시면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