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달달한 너구리
달달한 너구리22.09.18

소독약을 바르면 왜 거품이 나나요?

상처에 소독약을 바르면 상처부위에서 거품이 엄청 많이 나는데요.처음에는 나는데 계속 바르면 그 뒤엔 안나는데 어떤 이유로 그런건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09.18

    안녕하세요. 한만전 과학전문가입니다.

    우리가 흔히 말하는 소독약 과산화수소 입니다. 하지만 과산화수소는 멸균제입니다. 상처치료에 좋은 미생물도 모두 죽이는 것입니다. 과산화수소와 상처부위의 효소가 반응하여 활성산소를 발생시키고 기포가되어 올라옵니다. 이것이 눈에 보이는 거품입니다. 상처부위의 모든 효소를 다 죽이고 나면 거품이 나지 않습니다. 모든 미생물이 다죽어 오히려 상처치료에 좋지 않은 결과를 가져 옵니다. 하여 포비돈요오드,옥테디닌등 우리가 알고 있는 빨간약을 바르는것이 상처치료와 소독에 더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장현 과학전문가입니다.

    소독약에 있는 과산화수소의 특성입니다.

    상처에 바르면 피 속에 있는 촉매제인 "카탈라아제"가 과산화수소(=H2O2)를 H2O + O로 분해합니다.

    여기서 발생하는 H2O와 O가 거품처럼 보이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소독약을 바르면 과산화수소가 상처와 만나면서 효소와 반응해서 활성산소가 발생됩니다.

    활성산소가 세포 내 단백질을 응고시키게 됩니다.

    우리가 보는 거품은 이 활성산소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

    소독약에는 과산화수소 (H2O2)가 포함되어있습니다. 그리고 이 과산화수소는 물 (H2O)에 비해 굉장히 불안정한 분자입니다.

    이 과산화수소가 들어있는 소독약을 상처부위에 발라주게 되면, 피에 있는 카탈라아제라는 촉매제 때문에 과산화수소가 물과 산소로 급격하게 분해합니다. 여기서 발생한 산소 기체로인해 거품이 나는것이죠.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과산화수소를 바르게 되면 바른 부위 근처에 산소를 만들어내기때문에 기포가 발생합니다.
    해당 산소는 주변물질을 산화시켜 소독을 할 수있는 능력이 있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