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약 복용 이미지
약 복용약·영양제
약 복용 이미지
약 복용약·영양제
공손한거북이
공손한거북이21.12.21

상처에 소독약을 바르면 왜 하얀거품이 일어나는 건가요?

넘어져서 생긴 상처에 집에 있는 투명한 소독약을 바르면 따끔거림과 함께 하얀색 거품이 올라오는데요.

흔히 빨간약이라고 불리는 소독약도 상처에 바르면 하얀거품이 일어나나요?

하얀거품이 나는 현상은 왜 일어나는 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민석 약사입니다.

    소독약도 종류가 많습니다. 과산화수소, 포비돈요오드, 클로르헥시딘 등. 이 중에 과산화수소를 상처부위에 바르면 하얀색 거품이 납니다. H2O2는 상처부위에 나와있는 카탈라아제라는 효소에 의해 산소가 발생하여 소독효과를 보여줍니다.


  • 안녕하세요. 조영지 약사입니다.

    과산화수소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소독약에 있는 과산화수소가 상처부위에 적용되면 상처 부웨 있는 catalase라는 효소에 의해 산소가 나오게 되어 거품처럼 올라게오게 됩니다. 보통 산소는 상당히 불안정하여 생성될때 산화력에 의해 주변 미생물이나 박테리아 등을 소멸시키는 작용을 하게 됩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 안녕하세요. 조진우 약사입니다.

    하얀거품은 산소(O2) 입니다.

    하얀거품을 일으키는 소독약은 과산화수소(H2O2) 입니다.

    소독용 과산화수소(H2O2)는 상처부위에 소독시 혈액을 만나서 혈액에 있는 카탈레이스(촉매)를 만나

    물 (H2O)과 산소 가스 (O2)로 변형됩니다.

    이때 산소 가스 (O2)에 산화력으로 소독작용을 하게 됩니다.

    빨간약이라고 불리는 소독약은 '포비돈 요오드' 로 하얀거품이 발생하지 않습니다.

    감사합니다.

    조진우 약사 드림.


  • 안녕하세요. 양은중 약사입니다.

    과산화수소를 바를 경우 하얀거품이 나타나는 것인데,

    과산화수소의 화학식인

    2 H2O2 -> 2 H2O + O2(산소)

    산소가 발생하기 때문에 거품이 나타납니다.

    과산화수소가 세포와 반응하면서 산소가 발생하고

    이 과정에서 소독 효과가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현승 약사입니다.

    질문자님께서는 소독약을 바르면 하얀 거품이 나는 이유에 대해서 궁금하시군요.

    과산화수소가 포함된 소독약을 바르면 하얀 거품이 나게 되며, 이유는 과산화수소수가 상처에서 나오는 혈액에 있는 카탈라아제라는 효소 때문입니다. 이 효소는 과산화수소를 물과 산소로 분해하기 때문에 분해 과정에서 산소로 인해 거품이 발생하게 되며, 이러한 산소는 상처 부위를 소독하는 작용을 합니다.

    포비돈의 경우 사용을 해도 거품이 발생하지는 않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송용호 약사입니다.

    과산화수소를 바르면, 상처에서 거품이 납니다.

    왜냐하면 , 혈액 속에 있는 ‘카탈라아제’라는 촉매 효소에 의해 과산화수소가 분해되기 때문입니다.

    이 과정에서 산소가 발생하고, 거품이 일어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최정수 의사입니다.

    상처에 있는 피와 과산화수소가 만나면 거품이 일어나게 됩니다. 이는 과산화수소가 피 속에 있는 카탈라아제라는 효소에 의해 분해되면서 산소가 생성되기 때문에 거품이 나는 것입니다. 빨간약인 포비돈 요오드의 경우는 분해되도 산소가 생기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거품이 생기지 않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경민 약사입니다.

    빨간약을 바를때는 거품이 나지 않습니다.

    거품이 나는 것은 과산화수소를 발랐을때 나타나는 일종의 화학현상입니다.

    과산화수소가 피와 만나게 되면 산소를 발생하게 되는데 이때 이 산소가 거품으로 나타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최성모 약사입니다.

    아마 과산화수소를 사용하신듯 합니다.

    과산화수소는 상처부위의 카탈라아제라는것과 반응하여 활성산소를 형성합니다. 이것이 소독효과가 있기도 하고 기체가 발생하기에 하얀 거품이 일어납니다.


  • 안녕하세요. 박일청 약사입니다.

    아마 과산화수소를 사용하신듯합니다.

    과산화수소가 피부아래에 모세혈관으로 들어가 공기방울을 만들기 때문입니다~ 거품이 발생하는것은 정상입니다

    일반적으로 포비돈이나 다른 소독약은 과산화수소에 비해 거품발생이 적습니다


  • 안녕하세요. 송정은 약사입니다.

    소독약으로 과산화수소수를 사용한 경우 과산화수소수는 피랑 반응하여 산소를 생성해 소독효과를 가지며 산소가 발생하여 기포가 생겨 거품이 발생하게 됩니다. 빨간약은 요오드 성분으로 거품이 일어나지는 않습니다.

    감사합니다. ^^


  • 안녕하세요. 김현정 약사입니다.

    소독약중에서도 과산화수소가 소독시에 거품이 나게 됩니다.

    이는 2H2O2 -> 2H2O + O2 라는 식으로 설명될 수 있는데, 여기서 발생하는 O2, 즉 산소가 보글보글 일어나는 하얀 거품이 되는 것입니다. 이 산소의 산화력이 살균효과를 지니기 때문에 거품효과가 나지 않는다면 살균효과는 없다곡 보시면 됩니다.

    그러나 과산화수소는 정상세포든 세균이든 상관없이 강력한 산화력으로 피해를 입힐 수 있기 때문에 피부에 자극이 일어날 수 있어 보통 상처소독에는 사용하지 않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희재 약사입니다.

    과산화수소만 거품이 납니다. 혈액속의 카탈라아제라는 효소와 과산화수소가 반응하여 산소가 발생하기때문에 거품이 생깁니다.

    과산화수소는 정상세포에도 손상을 주기 때문에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병열 약사입니다.

    1. 상처난 부위에 과산화수소를 부으면 거품이 일어납니다. 과산화수소가 상처부위에 있는 카탈라아제라는 효소에 의해 산소화 수소로 분해되는데, 발생한 산소가 유해세균을 죽이게됩니다.


  • 안녕하세요. 정주수 약사입니다.

    소독약을 사용하고 하얀색 거품이 발생하는 것은 과산화수소 소독약만 해당됩니다.

    과산화수소가 혈액 또는 상처 부위에 존재하는 카탈라아제라는 효소와 반응을 하게 되면 활성 산소가 발생하면서 하얀 거품이 발생하게 됩니다. 이러한 활성 산소가 세균을 제거해주기도 하지만, 반응성이 큰 물질이라 세균 이외의 정상 세포, 단백질을 파괴하여 상처 치유를 지연시키기도 하므로 사용하더라도 작은 상처에 사용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상처의 소독은 보통 흐르는 물 또는 생리식염수 정도로 씻어내 주시고, 상처에 따라 항생제 연고의 사용 또는 하이드로콜로이드 등의 습윤밴드 등을 사용하여 처치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답변이 도움 되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변종석 약사입니다.

    과산화수소를 바르셨나요

    과산화수소는 상처에 있는 세균 효소와 반응하기 때문에

    기체가 형성되어 뽀글뽀글 하게 됩니다

    제 답변이 조금이나마 도움되셨길 바랄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