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요시는 무엇을 뜻한가요? 민요도 시가 될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우리나라 사람들이 가장 많이 애송하는 진달래꽃을 민요시라고 하던데 민요시가 무엇을 뜻하는 말인가요? 민요도 시가 될수 있나요?
민요(民謠)는 민족적인 감정이나 기호를 멜로디로써 나타낸 자연발생적 서민문화 입니다
시는 글에 운율=노래적 리듬 이 있는 운문작품입니다
민요시는, 전해내려오던 민요들을 시로 재창조 하려던 시도였습니다
판소리들이 소설로 재창작 된 것과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박에녹 전문가입니다.
민요시는 김소월의 '진달래꽃'을 시집에 싣는 과정에서 제목 옆에 부제목으로 '민요시'라는 말을 붙이면서 처음 쓰였다고 합니다. 김소월이 처음으로 사용하기 시작한 민요시라는 명칭은 그 후 김소월의 스승이었던 김억이 김소월의 다른 작품들을 설명하면서 보편적으로 사용되었다고 합니다. 김억은 민요시를 '전통적인 민요조에 기반을 두고 곱고 서러운 정서를 아름답게 짜고 엮어서 만든 시'라고 규정했습니다. 신체시 이후 우리 시 문학이 지나치게 서구적으로 변하자 그에 대해 우리의 리듬을 지키자는 취지에서 시작된 시의 흐름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민요시의 특징은 3음보 율격의 사용과 우리 민족의 전통적 정서를 담은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김소월의 '진달래꽃'을 보면 '나보기가 / 역겨워 / 가실 때에는', '말없이 / 고이보내 / 드리우리다' 에서 알 수 있듯이 3음보의 민요의 율격이 두드러지게 사용되고 있습니다. 또한 '진달래꽃'에서는 임과의 이별, 이별의 정한을 주제로 하고 있어 고려가요 '가시리', '서경별곡'과 황진이의 시조 그리고 민요 아리랑까지 우리 민족이 즐겨부르던 노래의 정서를 담고 있습니다. 민요시는 민요의 박자를 근대적으로 살려서 우리의 전통적인 정서를 표현한 근대시라고 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손용준 전문가입니다.민요시’라는 용어가 처음 사용된 것은 김소월의 시 「진달래꽃」으로, 『개벽』 25호(1922.7)에 발표되면서 ‘민요시’라는 부제를 붙인 것이라고 합니다. 서양의 근대 문학의 영향을 받은 한국 근대시는 새로운 형식과 내용에 받아들이면서 우리 시가의 하나인 민요를 받아들이면서 만들어 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