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역사

기쁜향고래의 노래
기쁜향고래의 노래

우리나라에 첩은 언제 없어졌나요?

조선시대뿐만 아니라 일제시대까지 우리나라에는 정실부인 외에 첩을 두는 것이 합법이었다고 합니다. 우리나라에 첩은 언제 없어졌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이승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한국의 축첩제도는 1915년에 조선총독부가 총독부 통첩 24호를 통해 첩의 호적 입적을 금지함으로써 공식적으로 폐지되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사례를 빼면 일본은 조선의 축첩 관습에 대해 별로 관심이 없었고, 조선의 유력자들은 여전히 첩을 두었다고 합니다.

      해방 이후 축첩제 폐지 요구는 다시 드세졌고, 이에 따라 1948년 제정된 대한민국 헌법 제20조를 통해 축첩제를 재차 부정하였습니다. 그러나 한국전쟁을 겪으며 남자들이 많이 죽어나가 성비불균형이 심했고, 또 원래 관습이란 것이 법이 바뀌었다고 쉽게 없어지는 것도 아니었으며 무엇보다도 전쟁 직후라 경제상황이 개판이었기 때문에 돈이나 권세 좀 있는 남자들이 첩을 여러명 두는 것은 여전했었습니다.

      축첩 관습이 사라진 것은 제2공화국의 장면 정권 부터입니다. 당시 4.19 이후 사람들의 인권의식이 높아진 상황에서 여성단체들이 대대적인 축첩반대 운동을 전개하자, 장면 정권이 이를 받아들여서 1961년부터 첩을 둔 고위공직자들을 퇴출시킨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시대에는 원래 일부 다처제를 인정 했습니다. 그러다가 일젱 강점기에 새로운 가족법이 1920년 등장 하고 1930년에 들어서는 가족법에서 일부 다처제를 불법 으로 규정 하면서 첨 제도는 사라지게 되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축첩 관습이 사라진 것은 제 2공화국의 장면 정권부터이며 1960년대 이후 축첩이 범죄라는 인식이 지배적인 것이 되며 사라지게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