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정부가 보건의료 미래 유망 기술 뽑는다던데 그게 뭘까요?
정부와 보건 산업진흥원이 앞으로 10년간 대한민국 보건의료산업을 이끌 10대 유망기술 설무노사를 했다는데 과연 어떤 미래유망 기술을 뽑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한국 정부가 보건 의료 미래 유망 기술에 대한 내용입니다.
예, 말씀대로 정부는 10년 뒤에 한국의 보건의료 산업을 이끌 보건의료 유망기술을 찾는 것으로
사회적, 산업적 파급력을 갖게 될 10개 기술을 발굴해서
체계적인 경쟁력 강화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요즘 정부가 보건의료 쪽에 꽤 진지하게 미래 준비를 하는 분위기입니다. 이번에 논의된 10대 유망 기술은 단순한 신기술 소개라기보단 산업 전체 흐름을 끌고 갈 중장기 방향을 고른 거라 보면 됩니다. 예를 들어 정밀의료 같은 개인 맞춤형 치료기술이나 디지털 헬스케어처럼 건강을 관리하는 시스템 쪽이 우선순위로 꼽히는 분위기고 인공지능 진단 보조나 로봇 수술 같은 기술도 빠지지 않았다고 합니다. 또 하나 눈에 띄는 건 희귀질환 치료나 신약 개발 플랫폼 같은 생명공학 기반 기술도 핵심축으로 포함됐다는 점입니다. 결국 앞으로는 치료보다 예측과 예방 중심의 구조로 넘어가겠다는 뜻으로 읽히고 전통적인 의료기기보다 디지털 기반 서비스가 중심이 되는 쪽으로 가닥을 잡는 흐름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기술 패러다임을 전환해 새로운 시장·산업 구조를 창출하는 '선도형 기술', 기존 기술 발전 경로를 건너뛰어 기술 격차를 극복하는 '도약형 기술', 서로 다른 분야 기술을 융합해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융복합형 기술', 기술·제품·서비스 등을 연계·결합한 '시스템형 기술' 등의 기술들을 뽑으려고 하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미래에 우리나라 바이오 헬스 산업을 이끌어 갈 수 있는 기술을 찾는다는 내용입니다
현재 우리나라의 노인 인구 비중이 앞으로 더 커질 수 있기 때문에 R&D 예산을 이쪽으로
활용하려 하는 것이고 예를들어 AI와 로봇과 같은 기술에 보건의료를 접목한 것들입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위와 같은 보건의료 10대 유망기술은
국내 보건의료 분야 연구자를 대상으로 10년 후 상용화돼 국민 건강과 의료질 향상,
국가 재정 절감 등에 기여하면서 기술·산업·경제·사회·정책적으로 파급력과 전략적 중요성을 가진
기술의 제안을 받는 것이고 어떠한 것들이 나올지는 아직 알 수 없으니 참고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