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페이드형 변광성은 무엇인지 설명 부탁드립니다.
북극성이 세페이드형 변광성이라고 합니다.
근데 변광성은 별의 밝기가 변하는 걸 말한다는데 왜 별의 밝기가 변하는 건지 궁금하고 세페이드형 변광성은 무엇인지 설명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
별의 팽창과 수축의 반복에 의해서 밝기가 주기적으로 변하는 맥동 변광성 중에서 주기가 1~50일 사이인 별을 말한다고 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
세페이드형 변광성은 밝기가 주기적으로 변하는 별 중 하나로, 천문학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별입니다. 북극성(폴라리스)도 세페이드형 변광성의 일종이며 이 별들은 일정한 주기로 밝기가 변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지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밝기가 변하는 별로서 세페이드형 변광성은 일정한 주기로 밝기가 변하는 변광성입니다. 이 주기는 몇 날에서 수십 날에 이르며, 밝기가 최대치에서 최소치로 변하고 다시 최대치로 돌아오는 과정이 반복됩니다. 세페이드형 변광성에서 가장 중요한 특징은 밝기(광도)와 주기 사이의 관계입니다. 주기가 긴 세페이드는 밝기가 더 크고, 주기가 짧은 세페이드는 밝기가 더 약하게 되며 별의 외피층(겉부분)이 주기적으로 팽창하고 수축하는 과정에서 밝기를 변하게 하는 것이지요~ 별의 외피가 팽창하면 별의 표면적이 넓어지면서 밝기가 감소합니다. 반대로, 외피가 수축하면 표면적이 줄어들어 온도가 상승하고 밝기가 증가하게 되며 이 주기적인 팽창과 수축 과정이 별의 밝기를 변화시키는 원인입니다. 헬륨의 이온화에 의한 불안정성 때문인데, 별의 온도가 특정 수준에 도달하면 헬륨이 이온화되면서 별의 외피가 팽창하고, 이온화된 헬륨이 다시 재결합하면 수축하는 과정이 반복되면서 주기적인 밝기 변화가 발생합니다. 세페이드형 변광성은 우주의 거리를 측정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변광 주기와 절대 밝기 사이의 관계를 이용하면, 세페이드 변광성의 주기를 측정함으로써 그 별의 절대 밝기를 알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이 절대 밝기와 실제 관측된 밝기를 비교하여 그 별까지의 거리를 계산하는 하나의 방법으로서 간주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