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화학

🫥🫥🫥
🫥🫥🫥

항산화 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공부하다가 궁금한 내용이 생겨서 질문해봐요 ㅠㅠ

1. 강한 산성 / 약한 산성 / 약한 염기성 / 강한 염기성

이 네가지 조건중에 항산화가 가장 잘 일어나는 ph조건은 어디인가요? 제가 사과로 ph농도 다르게 해서 실험을 해봤는데 갈변 정도를 육안으로는 확인하기 힘들더라구요… 원래 항산화작용은 ph농도에 영향을 크게 받지 않아서 사과 갈변이 다 비슷하게 일어난 걸 까요?

2. 산성은 식초 농도를 조절해서 강산/약산을 나눴고 염기는 베이킹 소다 농도를 조절해서 약염기/강염기를 나눴는데 여기서 문제가 있을까요?? 제 말은, 식초를 더 많이 넣을수록 강산이 되는가? 를 물어보는겁니당

3. 사과의 갈변 정도로 항산화를 테스트 할 때

육안 말고 또 측정할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4. 강산/약산, 강염기/약염기를 구분하는 ph농도는 보통 어느정도 되나요? (~~을 지나면 보통 강산성이라고 본다 이런식으로요)

5. 만약 산화가 가장 잘 일어나는 ph농도에서 항산화 효과를 하면 효과가 적게 나오나요? 항산화는 산화를 막는건데 산화가 잘 일어나는 ph농도에서는 산화를 막기 힘드니까요..?? 만약 맞다면 산화가 가장 잘 일어나는 ph농도와 가장 덜 일어나는 ph 농도를 알려주세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진행한 실험에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게 구분구획해서 설명을 드려보겠습니다. 해당 실험은 항산화와 pH 농도 간의 관계를 탐구하는 방법으로 이해됩니다. 사과의 갈변과 pH가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를 이해하기 위해 중요한 사항을 나눠서 설명드립니다.

    - pH 조건과 항산화 작용

    항산화 작용의 효율성은 pH 조건에 따라 변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많은 항산화제는 약산성 환경에서 가장 잘 작동합니다. 이는 많은 생체 분자와 항산화제가 살아있는 세포 내의 pH, 즉 약간의 산성 조건에서 최적의 활동을 보이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항산화제의 종류에 따라 이상적인 pH는 달라질 수 있으므로, 특정 항산화제에 대한 연구가 필요합니다. 사과의 경우, 갈변 반응은 효소적 반응에 의해 일어나며, 이 효소(폴리페놀 옥시다아제)는 일반적으로 중성에서 약산성 범위에서 활성화됩니다.

    - 실험 방법의 문제

    식초(아세트산)와 베이킹 소다(나트륨 바이카보네이트)를 사용하여 pH를 조절하는 것은 일반적인 방법입니다. 식초의 경우, 더 많은 양을 추가하면 용액의 pH는 더 낮아져 강산성에 가까워집니다. 강산성 또는 강염기성은 효소의 활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이것이 갈변 정도에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 갈변 정도 측정 방법

    육안으로 갈변을 평가하는 것 외에도, 분광광도계를 사용하여 갈변된 색소의 농도를 정량적으로 측정할 수 있습니다. 이 방법은 흡광도를 측정하여 갈색 색소의 양을 추정합니다. 또는 이미지 분석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색의 변활르 정량적으로 분석할 수도 있습니다.

    - pH 농도에 따른 구분

    약산성(pH 5-7), 강산성(pH < 5), 약염기성(pH 7-9), 강염기성(pH > 9)

    - 항산화 효과와 pH 농도

    항산화 작용은 특정 pH에서 산화 반응이 활발히 일어나는 조건에서 덜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 산화 반응이 가장 활발한 pH는 물질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극단적인 산성 또는 염기성 조건에서는 산화 반응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중성에 가까운 pH에서 항산화제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더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
    실험을 계속 진행하시면서 pH 조건을 다양하게 변화시켜 보고, 각 조건에서의 항산화제의 효과를 비교해 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이를 통해 더 정확한 데이터를 얻을 수 있을 것입니다.

    1명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