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역사

사일러스
사일러스

조선이 육로를 개발하지 않았던 이유는 무엇인가요?

어느 사이트에서 조선이 육로를 개발하지 않았던 이유가 수로가 더 저렴했다고 해서, 갑론을박이 있는데, 객관적인 이유는 무엇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조선시대 육로를 아예 개발하지 않은건 아닙니다. 역참제도를 활용하여 많이 이용하는 길을 닦기도 하였습니다.

    하지만 수로를 더욱 적극적으로 활용하긴 하였습니다. 질문주신 것 처럼 육로보다 훨씬 실용적이었기 때문인데요, 우선 우리나라의 지형은 대부분 산지가 많아 육로를 활용하기 어려웠습니다. 대신 강줄기는 대부분 한강으로 이어지고 있고 3면이 바다로 둘러쌓여 있어 강줄기와 바다를 이용한 수로를 많이 이용하였습니다.

    특히 세금을 징수할때 활용하였던 조운선이 대표적인 수로 활용이라 볼 수 있으며, 수많은 수레로 산을 타고 넘어야 옮길 수 있는 징수품을 커다란 배로 한번에 옮길 수 있어 많이 활용하였습니다.

  • 우리나라는 국토의 70%가 산지로 험준한 지형 때문에 중국과 다르게 도로를 건설하기에 매우 어렵고 비용이 많이듭니다. 비록 북학파 같은 경우에도 청의 수레를 편리성을 강조했지만 조선시대에는 불가능한 상황이었습니다.

    대신 수로 운송이 훨씬 저렴하고 한번에 많은 물자를 이동시킬 수 있었기 때문에 굳이 비싼 비용을 들여 육로를 개발할 필요도 적어씁니다. 따라서 조선 시대에는 수레보다는 조운 등 수운 체계를 통해 곳곳에 조창을 운영하여 세곡을 운반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