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미국에서 관세를 15프로를 부과하는데요 어떤 해결책이 있을까요
사실 우리나라 기업들은 수출로 먹고 사는 나라인데요 그런데 미국의 대통령 도날드
트럼프가 우리나라 수출품에 15프로 이상의 관세를 내라고 하는데 우리나라로써는
어떤 해결책이 있을까요 대미투자밖에 없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이에 대하여는 말씀하신대로 대미투자밖에 없을 듯 합니다. 혹은 원가절감을 통하여 판매가격을 할인하거나 혹은 다른 시장을 개척하는 방법밖에 없을 듯 합니다. 원론적인 이야기들이긴하지만 다른 국가들도 최소 10%의 관세를 납부하여야되는 상황이기에 이에 대하여 잘 대처하신다면 그대로 최악의 상황은 발생하지 않을 것으로 판단됩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박현민 관세사입니다.
미국이 특정 품목에 15% 관세를 부과하면 우리 기업들은 가격 경쟁력이 바로 떨어지기 때문에 대응책이 필요합니다. 흔히 쓰는 방법이 현지 생산 또는 대미 투자로 우회하는 방식이지만, 그 외에도 FTA 분쟁해결 절차 활용이나 WTO 제소로 협상을 유도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또 공급망을 다변화해 미국 의존도를 줄이고, 일부 품목은 원가절감을 통해 충격을 흡수하려는 전략도 병행됩니다. 실제 현장에서는 단기적으로는 바이어와 분담 협상을 하고, 장기적으로는 현지 법인 설립을 통해 안정적인 진출을 모색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김주봉 관세사입니다.
트럼프가 2기 집권을 시작하면서 국가별로 상호관세 및 품목별 추가관세를 시행하게 되었으며, 우리나라도 7월말 합의를 통해 일반품목의 경우 15% 추가되는 상호관세를 부담하게 되었습니다. 그나마 미국에 투자 등을 이유로 이정도로 낮춘 것이므로 더 이상 낮추는것은 당분간 어려울 것으로 보여집니다.
미국이 어느정도 목적을 달성하였다고 하여 해제하거나 아니면 인하를 해주는대신 추가적인 조건을 요구할 수 있는 부분이지만 미국도 만성적인 재정 및 무역적자가 심각하다보니 관세를 통해 이를 충당하려는 부분도 있어 미국으로 수출하는 업체들 입장에서는 사실상 다변화, 각종 정부지원사업 활용 및 한미FTA 활용 최대화 등을 고려할 수 밖에 없는 현실이므로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이치호 관세사입니다.
관세 15퍼센트가 붙는 순간부터 가격 경쟁력이 바로 무너집니다. 결국 바이어가 대체 공급처를 찾게 되고 우리 기업은 물량을 잃을 수밖에 없습니다. 실무에서 보면 대응책은 몇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첫째는 FTA 협정을 활용해 협정세율을 적용할 수 있는 품목인지 확인하는 방법입니다. 둘째는 현지 법인이나 합작 투자 방식을 통해 생산지를 미국으로 옮기는 방법이 있습니다. 마지막으로는 품목 분류를 다시 검토해 다른 세율이 적용될 수 있는지 따져보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 됩니다. 다만 이런 조치들이 바로 효과가 나오는 것은 아니라서 단기적으로는 바이어와의 가격 협상을 통해 부담을 나누는 방식밖에 없는 경우도 많습니다.
1명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