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동향

모두가사랑이에요실금나와뚝방전설
모두가사랑이에요실금나와뚝방전설

중국의 중동개입은 향후 국제경제에 어떤 영향을 줄까요?

안녕하세요.

요즘 중국은 중동국가, 이란 및 사우디에 협력?

대세가 되려고 하나봅니다.

미국을 등한시한 중동에 개입은 어떻게 될까요..

우리나라가 취할 입장은 무엇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브릭스에 중동까지 가세하면 한미일 유럽연합에 대응하기 위한 것으로 보입니다

      우리는 이미 한미일에 반중 반러 반공산주의 멸공을 외치는 중입니다

      지리적 위치로 볼때 또 한반도를 통한 무력전쟁이나 경제전쟁이 일어날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중립의 입장을 지키지않는다면 625전쟁처럼 도화선이 되고 망하겠죠

      미국에 등돌리는 유럽도 관망하는거로 보입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중국의 개입이 지금은 경제적 이익에 국한된다고 하지만 이게 확장될 가능성은 언제나 있다고 경고하기는 합니다. 전 국방부 차관보였고 지금은 대서양 위원회 선임 이사인 윌리엄 웨슬러는 전엔 경제적 이익만 챙기는 척 하다 지금은 외교적 영향력 과시하는거 보면 곧 있으면 지역 안보에까지 간섭하지 말라는 법 있냐? 라고 주장하고, 전 CIA 중동지역 차관보였고 지금은 대서양 위원회 선임연구원인 조나단 페니코프도 지금은 중국이 경제적 이익만 도모하는 것 처럼 보여도 경제 협력이 정치적 협력으로 발전한 사례들 보면 중국의 차후 안보적 개입 가능성은 존재한다고 말하고 있네요. 다만 대서양 위원회라는 곳 자체가 나토 국가들이 대놓고 후원하는 곳이고 군수산업체에서도 호주머니 채워주는 곳이라 좀 걸러들어야 할 필요성은 있기는 하지만요.

    • 안녕하세요. 김지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우리는 과도한 대(對)중국 교역 의존도를 줄이고 시장 다변화를 추구하는 측면에서도 중동 지역으로 파고들어야 합니다. 신냉전과 글로벌 공급망 재편 속에서 가치 동맹 강화와 국익 극대화에 초점을 맞춰 정교하면서도 실용적인 중동 외교를 펴야 할 시점입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아무래도 중동국가들과 중국이 같은 스텐스를

      취하는 등 한다면 미국 또한 여러 우방들과 위 국가들에 대하여

      제제를 가할 수 있는 등 조금 더 지켜보아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중국이 중동에 개입을 하기 시작하고 중동 국가들이 중국과 연대를 하게 되는 경우에는 아무래도 페트로 달러가 흔들릴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하기는 힘들어져요

      세계 무역의 가장 기초가 되는 원유의 결재 화폐가 일부라도 중국 위안화로 이동하기 시작하는 경우 미국의 위치도 흔들릴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된다고 보시면 좋을 것 같아요

    • 안녕하세요. 홍성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중국은 석유와 천연가스 수입에 중동을 많이 의존하고 있습니다. 중동 지역의 정치적 불안정이나 갈등은 중국의 에너지 공급 안정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중국은 세계에서 가장 큰 경제 대국 중 하나로서 국제 금융 시장에 큰 영향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중국의 중동 개입은 국제 금융 시장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금융 시장의 변동성과 안정성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