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동향

아리따운안경곰70
아리따운안경곰70

우리나라 경제 성장률 중 수도권의 기여도가 18.5% 상승했다던데 이정도 수치는 어떤 현재 상태라 할 수 있나요?

우리나라의 경제 성장률 중 수도권의 기여도가 18.5% 상승했다는 경제 기사를 보았습니다

단순히 18.5%라는 수치만으로는 현재의 상태가 어느정도인지 명확하게 느낄 수가 없는데

경제성장률의 기여도가 18.5% 상승했다는 것은

현재 우리나라의 경제가 어떤 방향으로 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인가요?

이게 단순한 고령화의 여파인지, 아니면 수도권으로 쏠림현상의 결과인지

18.5%라는 수치가 어떤 것이 주된 요인인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그만큼 우리나라의 수도권 편중이 심하다는 것이며

      인구도 수도권에 상당히 밀집되어 있고 앞으로 이러한

      양극화가 심해지고 있다고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경제 성장률의 기여도가 18.5% 상승했다는 것은 수도권이 전체 경제 성장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수도권의 경제 활동이 다른 지역보다 더 빠르게 성장하고 있거나, 수도권의 산업 구조나 인프라 등이 전체 경제 성장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는 것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질문하신 우리나라의 경제 성장률 가운데 수도권 기여도 18.5%라는 것에 대한 내용입니다.

      수도권은 면적으로만 보자면 대한민국 전체 면적의 11.8%입니다.

      면적 대비 경제 기여도는 분명 수도권의 쏠림 현상을 보여주는 것입니다.

      다만, 인구수대비로 보자면 대략 절반이 채 못되는 인구가 수도권에 과밀되어 살아가고 있는 것에 바하면

      18.5%는 인구대비 경제 기여도는 높지 않음을 나타내기도 합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의 경제력의 수도권 집중화 현상이 더욱 뚜렷해진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주요 성장산업이 수도권에 집중되며 비 수도권의 성장 잠재력이 약화 되면서 인데 특히 소득재분배 등으로 지역간 소득 격차는 줄었으나, 도지역은 고령화 가속화 등으로 수요 측면의 성장동력인 소비 부진이 심화됐다는 지적이라고 합니다. 서울과 경기 등 수도권은 2015년 이후 성장률이 이전 기간과 비슷하거나 소폭 하락한 반면 비수도권 다수 지역은 성장률이 3%포인트 이상 큰 폭으로 하락했고 이에 따라 수도권의 전국 경제성장률에 대한 기여율이 51.6%에서 70.1%로 벌어졌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수도권의 성장 기여도가 상승하였다는 것은 우리나라의 수도권 심화현상이 증가했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에 경제의 균형성장 측면에서 본다면 매우 좋지 않은 상황이라고 볼 수 있어요. 특히나 현재 경기가 좋지 않다는 것을 감안한다면 지방의 경제가 특히나 더 악화된 상황이라고 볼 수 있는 지표에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