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스닥의 하락률이 3%에 도달하면 시장 조정이 깊어졌는데 이는 무엇 떄문이라 할 수 있나요?
지금까지 나스닥의 경우
하락률이 2%대에서 3%대로 되는 순간부터
시장 조정이 깊어진 것으로 기억합니다
실제 이에 대한 관련된 기사들도 몇번 본 적이 있는데
왜 나스닥은 하락률이 3%에 도달하면
조정기간이 길어지는 현상들이 나타나는 것인가요?
이에 대한 어떤 경제적 패턴이라는 것이 존재하는 것인지요?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나스닥 지수 등에서 -3%의 하락을 보인다면 이에 따라서 하락추세로 접어드는 등
어려운 경우가 종종 있었습니다. 무조건 -3%를 보였다고 하여서 좋지 않은 것은 아닙니다만
아무래도 위 -3% 를 보이고 이후에 어려움 등이 있던 사실도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전문가입니다.
나스닥 하락률과 경제적 패턴은 없습니다 그런게 있었으면 돈벌기 수월했겠쬬 ㅠ 나스닥 기술주가 큰 폭으로 빠지면 단기 조정 들어가는 확률이 높긴하겠지만 그게 딱 패턴으로 정형화 되어있지는 않습니다
안녕하세요. 홍성택 경제전문가입니다.
나스닥이 하락률이 3%에 도달하면 시장 조정이 깊어지는 현상은 일반적인 경제적 패턴 중 하나입니다. 이는 투자자들이 시장이 과열되었다고 판단하여 이익 실현을 위해 매도 주문을 쏟아부으면서 시장이 급격히 하락하는 현상을 반영합니다. 이러한 패턴은 투자자들 간의 심리적 반응과 시장의 불안정성에 기인한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트럼프 리스크 때문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최근 미국의 장세는 확실하게 대선 국면에 들어갔습니다
이로 인하여 다른 이슈보다 대선후보들의 공약이나 발언에 포커스가 맞춰지고 있습니다
여기서 트럼프가 전기차에 대한 안좋은 발언을 하고 반도체 기업의 매출도 감소하는 방향의
정책을 공약으로 언급한 것이 주식시장에 악재로 작용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전문가입니다.
나스닥 지수가 3% 하락하면 조정 기간이 길어지는 이유는 주로 심리적 요인과 기술적 매도 압박 때문입니다. 많은 투자자들이 3% 하락을 중요한 경고 신호로 인식하고 이에 따라 추가 매도를 하게 됩니다. 이로 인해 시장의 하락세가 더 가속화되고 조정 기간이 길어지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해당 용어를 마삼룰이라고 하는데, 2020년 유행이었던 특정 투자블로거
조던이라는 분이 만든 용어입니다. 역사적으로 나스닥 일일 하락률이 -3%를 찍는 경우는 좀처럼 없고 때문에 그런현상은 큰 하락 이벤트의 시작점이라는 것이라고 표현했습니다.
특정 원인을 밝혀내진 못했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상열 경제전문가입니다.
나스닥 지수가 3% 이상 하락할 경우, 이는 시장 조정이 깊어졌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하락률이 시장 조정의 신호로 해석되는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심리적 요인: 투자자들은 일반적으로 지수의 큰 하락에 대해 걱정하며, 이는 시장 전반에 불안감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3% 이상의 하락은 종종 투자자들이 시장의 방향에 대해 회의감을 가지게 하며, 이는 추가적인 매도 압력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경제 지표와 기업 실적: 나스닥의 하락은 경제 지표나 주요 기업들의 실적 악화, 혹은 전망 하향 조정과 관련이 있을 수 있습니다. 기술 중심의 나스닥은 이러한 기업 실적에 민감하게 반응하므로, 중요한 기업들이 부진할 경우 큰 하락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시장 조정: 3%의 하락은 시장 조정의 한 부분으로 간주될 수 있습니다. 조정은 일반적으로 시장의 과열을 식히고 건강한 조정 과정을 거치게 하는 역할을 합니다. 시장 조정 기간 동안 지수가 10% 이상 하락하는 경우도 있으며, 이러한 조정이 깊어지면 전체적인 하락폭이 더욱 커질 수 있습니다.
거시 경제와 정책 변화: 금리 인상, 통화 정책의 변화, 또는 지정학적 리스크 등 거시 경제와 관련된 요인들도 시장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나스닥 지수의 하락폭이 커질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전문가입니다.
뉴욕증시에서 반도체주가 일제히 하락하면서 나스닥 지수가 3% 가까이 급락 마감했습니다.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사상 처음으로 4만1000선을 돌파해 마감했습니다. 반면 기술주가 절대 비중을 차지하는 나스닥 지수는 이날 반도체 및 인공지능(AI) 관련주 급락 여파로 지난 2022년 12월 15일(-3.2%) 이후 1년 7개월 만에 가장 큰 낙폭을 기록했습니다. 미국이 동맹국들에 중국에 대한 반도체 부문의 가장 엄격한 무역 제한을 거론하며 제재 강화를 검토하고 있다는 보도가 투자자들의 우려를 키웠고 공화당 대선후보인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대만 TSMC 등에 지급하는 반도체 보조금을 문제 삼는 듯한 발언을 한 것도 반도체 업종 전반에 대한 투자 심리를 악화시켰습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나스닥 하락률이 3퍼센트에 도달하면 시장 조정이 깊어지는 것에 대한 내용입니다.
아마도 특별한 경제적인 원리나 논리에 근거했다라기 보다는
이런 것은 그동안 쌓인 데이터나 경험이 근거해서 논하는 것으로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