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과 치료후 발생한 통증 및 병원 옮기기
안녕하세요. 5개월 전 어금니 쪽에 금이 가 씹을때 통증이 발생하였고, 이로 인해서 신경치료를 진행 후 크라운을 씌웠습니다.
초기에도 얉은 통증이 있었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이질감만 있고 통증이 잠깐 사라졌다가 1달~2달 쯤 부터 씹는것은 통증이 없지만 잇몸? 쪽인지 해당 이빨을 양옆으로 살짝 건드리면 통증이 느껴집니다.
기존에 치료를 받았던 치과에 방문을 하기에 조금 꺼려지는 부분이, 치료과정에서 태도 라던지 계속 이빨쪽이 조금 아프다고 이야기를 하면, 제 착각이라는 식으로 이야기를 하고는 했고 신경치료 과정에서도 통증이 남아있다고 말을 하니 그냥 무슨 말을 해도 "이거 못 참으면 임플란트 하세요~" 이러고 참으라는 식으로 자꾸 넘어가서 불쾌하더라구요.
그래서 동일 병원은 뭔가 방문하기가 꺼려집니다. 그래서 다른 병원을 가보려하는데, 보통 이런 경우에도 진료가 가능한가요? 예전에 다른 쪽 수술( 이빨아님 ) 후 다른곳에서 진료를 보니 자신들의 수술이 아니라 대답할 수 없다는 식으로만 이야기한 경험이 많아 조금 걱정이 되어 질문 드립니다.
1. 끝까지 기존 병원을 가야할지
2. 다른 병원을 가도 괜찮은지
궁금하네요.
안녕하세요. 김지훈 치과의사입니다.
다른병원을 내원하여 검사는 받아보시는 것이 좋고 같은 진단이면 기존치과에서 마무리하면 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김철진 치과의사입니다.
치아에 금이 가서 생기는 통증이라면 발치를 해야될 가능성도 잇고 신경치료를 다시 해봐야될 가능성도 있어 보입니다. 기존치과에서 해결이 안되면 대학병원을 한번 가보시는게 좋을것같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최석민 치과의사입니다.
해당 치아에 대해 어떤 처치를 할지에 따라 다릅니다 재신경치료나 치근단절제술 등을 하는 경우 기존 치료(신경치료)에 연장선에 있는 처치이니 같은 치과를 가는것이 좋습니다
그게 아니고 뽑고 임플란트를 하거나 아니면 치료방향에 대해 상담 받는 경우 타 치과도 상관없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안상우 치과의사입니다.
치료를 하고 난 다음에도 통증이 있다면 통증의 원인을 제거하지 못한 것으로 생각됩니다. 치아에 금이 갔을 경우 금이 뿌리까지 내려가게 되면 신경치료를 하거나 보철 치료를 해도 통증이 있을 수 있습니다. 치아에 뿌리에 금이 가서 생기는 통증은 결과적으로 치아를 발치하는 방법밖에 없습니다.
자세한 확인을 위해서 치과에서 진료를 받아보는 것을 권유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