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생활

생활꿀팁

서울고무신
서울고무신

우리나라의 알트코인(코인이나 토큰)은?

알면 알수록 궁금한게 많아지네요.

그리고,용어의 정의도 혼란스럽네요.

비트코인외의 모든 암호화폐를

알트코인이라 부르는건가요?

그리고,코인과 토큰의 차이도 있을거 같고요.

여기서 질문드리께요.

소위,코인이나 토큰을 만드는게 어렵지않다고 하는데

현재 우리나라에서 발행(제조?제작?)한

코인이나 토큰은 몇 종류나 있는지요?

그리고,그 코인이나 토큰은

우리나라 암호화폐 거래소에 상장되어 있나요?

상장대기중인가요?

답변 부탁드립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8개의 답변이 있어요!
    • 깔끔한웜뱃250
      깔끔한웜뱃250

      안녕하세요, 간략히 답변 드리겠습니다.

      1. 비트코인, 알트코인 모두 암호화폐라 칭합니다.

      2. 알트코인 이라 부르는 것은 비트코인만 따로 칭하기 때문입니다. 즉 비트코인을 제외한 모든 암호화폐들은 알트코인에 속합니다.

      3. 한국에서 만든 코인/토큰은 생각 보다 종류가 맞습니다. 소위 말하는 유명한 것과 거래 가능한 곳을 말씀드리면 다음과 같습니다.

      • 아이콘/업비트, 빗섬, 바이낸스

      • 클레이/코인원

      • 아하/업비트

      이 외에도 많은 한국 코인/토큰들이 존재하고, 일부는 상장 혹은 일부는 상폐된 상태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국내에서 많은 코인과 토큰 종류도 너무 많아서 그걸 일일이 다 나열하긴 어려 울 것 같습니다.

      상장된것도 있고 아닌것도 있고 특히나 2017년을 기점으로 엄청나게 폭발적으로 등장했기 때문에요 대략 천개단위라고 예상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그만큼 만들기 쉬운 건 사실이나 어떻게 홍보해서 히트시키느냐가 문제죠

      코인과 토큰의 개념은 만들때 독자적인 플랫폼을 가진 암호화폐냐 아니면 다른 플랫폼에 종속되어 서비스를 지속하는 암호화폐냐로 나뉜다고 보시면 되고요

      참고로 대부분 국내에서 만든 프로젝트들의 경우 암호화폐도 대부분 국내상장을 목표로 많이 합니다.

      다만 사업성이 별로거나 누가봐도 거의 스캠수준에 준하는 정도로 퀄리티가 떨어지는 국산 프로젝트들은 국내거래소에서도 받아주는 곳이 없어서 해외에 잘 알지도 못하는 곳에 상장하는 경우가 많죠

      따라서 우리가 흔히 메이저 거래소에 상장하는 코인들 위주로만 사람들도 수요가 몰리게 됩니다.

    • 우선 첫 번째 질문인 알트코인에 대한 정의를 말씀드리자면

      말씀하신대로 비트코인 외의 모든 코인(토큰)은 알트코인이라고 지칭을 합니다.

      알트코인(AltCoin)은 대체(Alternative)와 코인(Coin)의 뜻이 합성되어 만들어진 말로

      비트코인을 대체할 수 있는 코인이라는 뜻에서 탄생하게 된 용어입니다.

      그리고 코인과 토큰의 차이는, 메인넷을 했냐 안했냐의 차이인데요.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모든 암호화폐는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당연히 각각의 체인이 존재하게 됩니다.

      그래서 비트코인, 이더리움, 이오스 같은 코인들은 각자의 체인을 독립적으로 가지고 있는데요.

      이런 자기만의 독립적인 체인을 가지고 있는 것들을 '코인'이라고 지칭하고

      자기만의 체인으로 독립되지 않고 다른 체인들을 기반으로 만들어진 코인들을 '토큰'이라고 지칭합니다.

      예를들면 암호화폐중에 이더리움이 아닌데 개인 이더리움 지갑을 사용해서 입출금이 된다고 하는

      ERC 기반의 코인들은 전부 다 이런 '토큰'의 범주에 들어간다고 볼 수 있습니다.

      전세와 자가의 개념으로 생각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지금 우리나라에서 만든 코인이나 토큰은 너무 많아서 셀 수가 없을 정도이고

      국내 거래소에 상장된 코인들도 다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게 업비트/빗썸등에 상장된 아이콘, 밀크라던가

      카카오에서 만들어 코인원 등에 상장되어있는 클레이 등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답변 드립니다.

      1. 비트코인외의 모든 암호화폐를

      알트코인이라 부르는건가요?

      -> 네 맞습니다. 비트코인 이외의 코인을 alternative coin의 줄인 말로 알트 코인이라 부릅니다.

      2. 그리고,코인과 토큰의 차이도 있을거 같고요

      -> 네 차이가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자체 메인넷을 가진 프로젝트에서 발행한 암호화폐를 코인이라 합니다. 하지만 자체 메인넷을 가지지 못했거나 혹은 어떠한 플랫폼에서 기생하는 프로젝트들의 암호화폐의 경우 토큰이라 부릅니다.

      3. 소위,코인이나 토큰을 만드는게 어렵지않다고 하는데

      현재 우리나라에서 발행(제조?제작?)한

      코인이나 토큰은 몇 종류나 있는지요?

      -> 메인넷을 가진 코인을 발행하는 것은 쉽지 않습니다. 아무리 깃허브에 오픈소스 형태로 공개되어 있다 하더라도 일반인들이 접근하기 쉬운 영역은 아닙니다. 하지만 메인넷에 기생하는 토큰을 만드는 것은 어렵지 않습니다. 이더리움 플랫폼 내에서는 erc-20 토큰을 만드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쉽게 만들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 발생한 코인의 종류가 많기 때문에 정확히는 말씀 드리지 못합니다. 제 개인적인 생각으로 좀 이름있는 프로젝트의 경우 10여종류가 넘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4. 그리고,그 코인이나 토큰은

      우리나라 암호화폐 거래소에 상장되어 있나요?

      상장대기중인가요?

      -> 코인이나 토큰은 우리나라 거래소에 상장 되어 있습니다. 업비트나 코인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상장 대기중인 것은 거래소 관계자만 알수 있습니다. 들리는 소문으로는 상장 시, 거래소에 돈을 줘야 상장 할 수 있습니다.

      답변 채택 부탁드려요~

    • 안녕하세요 Danny입니다.

      한국에서 개발한 암호화폐는 아래와 같습니다.

      (물론 이보다 더 많지요..)

      아래에 있는 암호화폐들은 대부분 상장되어있습니다.<모든 거래소에 상장된건 아니고..거래소별로 상장되어 있죠.)

      <출처 : 해시넷>

      비트코인 이외의 모든 암호화폐를 알트코인이라 부릅니다.

      그리고 비트코인, 이더리움 같이 자기만의 네트워크가 있는 경우를 메인넷이 있다고 표현하는데..

      이런 암호화폐를 코인이라고 부릅니다.

      자기만의 네트워크가 없이 이더리움의 네트워크를 활용하는 경우 ERC-20라고 부르고.

      ERC-20 기반의 암호화폐를 토큰이라고 부릅니다.

      이렇게 부르긴 하는데..

      용어상의 단순한 차이일뿐 기능적인 면에서는 암호화폐가 가지고 있는 기능을 그대로 가지고 있습니다.

      물론 기능보다는 그 사용성 및 실제 가치가 더 중요하겠지요.

      답변이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블록체인 지식답변자 다라닝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우선 비트코인을 제외한 나머지 코인을 알트코인이라고 부르며, 코인과 토큰을 분리하는 기준은 메인넷을 진행했느냐의 차이입니다.

      메인넷이란 코인이 분리독립을 했느냐의 의미인데 쉽게 예를들어 알트코인에는 이더리움이라는 어머니가 있습니다. 그 아래 수많은 자식 코인들이 있죠.

      어머니 아래서 크다가 성장해서 자기만의 가정을 꾸리면 메인넷을 진했다고 판단합니다.

      우리나라에도 수없이 많은 코인들이 있습니다. 메디블록, 아이콘, 아모, 하이콘등 너무 많은 코인이 있고 각 사업장의 상황에따라 상장여부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말씀드린 4개는 모두 상장되어 있습니다)

      부족하지만 도움이 되셨기를 바라며 추가적인 문의가 필요하시면 답변 부탁드려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우리아라에서 발행한 코인으로 편의점, 도미노 피자, BHC ,야놀자 여행 등의 실생활에 할인 등의 다양한 형태로 쓰이고 있습니다.

      여러 코인의 플랫폼에서 각각의 많은 댑이 있어 여기서 다 언급하기 불가능하여 아하댑이 운영되는 루니버스 댑을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먼저 루니버스는 업비트 를 운영하는 두나무 블록체인 연구소인 람다 256이 만든 블록체인 플랫폼 입니다.

      루니버스 최고의 앱은 주제별로 묻고 답하는 보상형 Q&A 서비스 "아하"입니다.

      두번째는 숙박업 1위 기업이 만든 "야놀자"가 있습니다. 야놀자 플랫폼은 단순히 모델에 국한해 사용하는 플랫폼이 아닌 여행 및 여가분야를 선도하는 기업의 마일이지를 통합하여 사용하는 블록체인 플랫폼입니다.

      세번째로는 글로벌 언어 공유 플랫폼인 "직톡"이 있습이다. 직톡은 언어 전문가 뿐아니라 일반인들도 P2P로 외국어를 배울고 가르칠 수 있는 플랫폼입니다. 현재 영어, 중국어, 일본어 , 한국어 서비스가 진행 중에 있습니다.

      네번째로는 글로벌 한류 미디어 "케이스타라이브"가 있습니다. 케이스타 라이브는 900만명의 구독자를 보유한 넘버원 한류 미디어 및 보산형 소셜 플랫폼입니다.

      다섯번째로는 가상자산을 활용하여 블록체인을 쉅게 개발하도록 도와주는 "모스랜드"가 있습니다. 블록체인에 대한 지식이 없어도 모스랜드 플랫폼을 사용하여 가상자산을 소유할 수 있고 블록체인 기술을 쉅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여섯번째로 글로벌 O2O 커머스 플랫폼 "리본"이 있습니다. 디지털기기 에프터마켓에서 거래 및 유통 전 분야을 포함하는 O2O 거래 플랫폼입니다. 특히 디지털 기기의 공유가치를 실현하는 플랫폼입니다.

      이 외에도 더 많은 플랫폼 (밀크, 톡큰 등)이 있이 개발되어 있거나 개발 중에 있으며, 제가 알고 있는 한도에서 대표적인 것만을 말씀드렸습니다.

    • 비트코인외에 모든 암호화 화폐는 알트코인이라고 불리고 있습니다.

      우선 코인은 만드는것은 쉽지는 않습니다.

      하지만 이더리움 토큰을 만드는것은 굉장히 쉽고 적은량의 이더리움만 있으면 토큰은 발행 할 수 있습니다.

      1 개의 이더리움이 약 20만원이라고 하면 1만원도 안되는 이더리움을 가지고 토큰을 발행 할 수 있습니다.

      국내에서 발행한 토큰은 몇가지가 있지만 aha 토큰도 국내서 발행 된것입니다.

      aha토큰은 업비트와 데이빗에 상장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