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기타 육아상담 이미지
기타 육아상담육아
기타 육아상담 이미지
기타 육아상담육아
말쑥한치와와1
말쑥한치와와122.05.17

편식이 심한아기 계란만 좋아하는 아기

35개월 아이가 편식이 너무 심해요

계란만 좋아하고 먹는아기 어떻하면 좋을까요?

달걀후라이,삶은달걀은 좋아하는데

계란찜은 안 먹어요.. 야채넣어서 계란찜도 못 해줘요ㅜ

다른 음식을 어떻게 먹여야할지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박상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너무 계란만 주는 것은 영양에 좋지 않습니다

    계란과 야채를 섞어서 계란 말이를 해주거나

    달걀 후라이에 야채를 섞어주는 것도 고려해보시기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박주영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의 식기를 작은 용기로 바꾸어 보시고 아이가 사용하는 수저를

    작은 것을 바꾸어 보세요. 아이가 부모에게 밥을 더 달라고 스스로

    말하도록 하는 방법을 시도해보세요.

    그리고 아이에게 절대적으로 맞추는 과잉보호적인 양육 태도는

    오히려 아이의 편식을 심하게 함으로 아이의 입맛에 맟춘 식단을 자제하세요.

    가장 중요한 것은 정해진 시간에 식사를 하게 하고 식사가 끝나고 배가

    고프다고 해도 간식을 끊어보세요. 노력을 하시다보면 편식을 하지 않을

    것입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07.04

    안녕하세요. 이정훈 심리상담사/경제·금융/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편식은 유아기에 흔합니다. 아이들이 출생 체중의 3배에 도달하는 유년기의 급성장 이후 아이들의 성장 속도와 식욕은 줄어드는 경향이 있습니다. 또한 이 시기에 음식 선호라는 변덕스러운 과정의 발달이 시작됩니다.


  • 안녕하세요. 전지훈 심리상담사/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다른 야채들을 아주 잘게 다져서 부침개 등으로 해주면 괜찮을 것 같습니다

    또는 아이와 함께 요리 수업을 하면 아이도 음식에 흥미를 가질 수 있을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의 편식 습관 때문에 고민이시군요.

    아이의 식판을 바꿔 보는 건 어떨까요?

    아이가 좋아하는 색상과 모양의 식판에 음식을 알록달록하게 담아주면 의외로 아이가 바뀐 식판에 관심을 갖게 되면서 음식에 관심을 갖을 수도 있습니다

    아이와 함께 고칠 수 있는 방법은 음식책을 읽어주면서 비슷한 음식을 요리해서 읽었던 책 속의 주인공을 언급하며 ㅇㅇ는 당근을 잘 먹던데 우리 ㅇㅇ도 한번 먹어 볼까? 어떤 맛인지 궁금하자나 이렇게 오이, 양파, 시금치 등 아이가 싫어하는 음식들을 한 두가지씩 늘려 나가보는 것도 한가지 방법입니다

    식사 시간이 되면 아이들에게 부담이 될 수 있는 말들 이건 꼭 먹어야 해!! 라기 보다는 식시 시간은 즐거운 시간이라는 것을 인식시켜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은별 심리상담사/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위의 경우 가능하면 다른 반찬을 만들어놓는것이 좋습니다

    아이가 식사를 하지 않는다고 아이가 좋아하는것만 놓아둔다면 아이는 그러한 것들이 강화되어 더욱 편식에 대한 관념이 심해질수있습니다.

    위처럼 극단적으로 아이가 편식이 심할때는 아이가 좋아하는것을 끊는 것을 해주는것이 좋으며 식단을 다양하게 구성하는것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1. 즐거운 식사시간을 만들어주세요

    먼저 아이에게 식사 시간을 즐겁게 느낄 수 있도록 만들어 주세요. TV를 끄고, 장난감을 멀리한 후 가족 모두 식사에 집중하며 어떤 맛이 나는지, 어떻게 요리했는지 등 식사에 관련된 다양한 이야기를 나누어 봅니다. 요즘 식사시간에 보면 부모는 부모대로 휴대폰을 보면서 식사를 하고 아이는 아이대로 TV나 패드를 통해 시청을 하면서 밥을 먹기도 하는데요 같은 시간 같은 식탁에서 식사를 하면서도 서로 다른 공간에 있는 게 아닌가 하는 착각이 들 정도로 생각이 듭니다 하지만 이제는 최소 식사시간에서만큼은 식사에 관한 이야기를 하면서 디지털 기기와 멀리하고 식사에 관련된 이야기를 나누며 만약 아이가 음식을 남겼을 때 끝까지 다 먹게 한다면 벌을 받는다는 느낌을 줄 수 있으니 주의하셔야 해요

    2. 양을 조절하기

    가정에서도 아이에게 식판으로 식사를 지도하는 것이 좋다고 합니다. 반찬 담은 칸에는 아이의 기호에 따라 양을 조절하여 주시고 갑자기 싫어하는 반찬을 많이 주면 거부감을 가질 수 있으니 조금씩 늘려가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가급적이면 좋아하지 않는 반찬을 먼저 먹을 수 있도록 해주세요 저희는 먹기 싫어하는 반찬을 가급적이면 강제성은 없지만 최대한 조금이라도 먹어볼 수 있게 설명도 해주고 먹여주려고 노력하고 있습니다

    무턱대고 이거 먹고 저거 먹어가 아닌 이 음식을 먹으면 어디 어디 가 좋아지고 우리 00이에게 많은 도음을 줄 거야 하면서 차근차근 설명을 해주고 있어요

    3. 스스로 편식해결하기

    가정에서도 아이에게 식판으로 식사를 지도하는 것이 좋다고 합니다. 반찬 담은 칸에는 아이의 기호에 따라 양을 조절하여 주시고 갑자기 싫어하는 반찬을 많이 주면 거부감을 가질 수 있으니 조금씩 늘려가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가급적이면 좋아하지 않는 반찬을 먼저 먹을 수 있도록 해주세요 저희는 먹기 싫어하는 반찬을 가급적이면 강제성은 없지만 최대한 조금이라도 먹어볼 수 있게 설명도 해주고 먹여주려고 노력하고 있습니다

    무턱대고 이거 먹고 저거 먹어가 아닌 이 음식을 먹으면 어디 어디 가 좋아지고 우리 00이에게 많은 도음을 줄 거야 하면서 차근차근 설명을 해주고 있어요


  • 안녕하세요. 성문규 심리상담사/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성장기에 골고루 영양소를 섭취해야하기때문에 좋아하는 음식만 주는 것은 좋지 않은 방법입니다

    그렇다고 싫어하는 음식만 주면 아이가 밥을 먹지 않기때문에 야채등은 잘게 잘라서 아이가 함께 먹을 수 있도록 요리해주시는 것이 좋은 방법일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