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약 복용 이미지
약 복용약·영양제
약 복용 이미지
약 복용약·영양제
진득한셰퍼드179
진득한셰퍼드17921.05.03

우리가 처방 받는 약도 유통기한이 중요한가요?

제가 한참 전에 이비인후과에서 처방 받은 약이 있는데 먹으려고 보니까 약의 유통기한이 지났더라고요.

그래서 먹어야 하나 말아야 하나 고민중인데 유통기한이 지난 약을 먹어도 상관 없는 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전문가 현보민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약은 유통기한이라기보다는 잘 보시면 사용기한이라고 적혀있습니다. 사용기한내에서만 사용하라는 것이지요~~

    즉 이기간이 지나면 사용하지 말라는 것입니다. 약효를 보증하지 못하니 약효가 떨어질수 있고 만든지 오래되어 오염 변질되었을수 있으니 사용하지 말라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전문가 송정은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처방받은 약의 경우 약 원통 그대로 받은 경우 개봉시점으로부터 1년 이내 이며 PTP와 같이 낱개포장으로 경우 포장재 겉면에 표시된 유효기간까지 사용가능합니다.

    알약이 개봉되어 조제된 상태로 약포지에 조제해준 경우 습기와 빛에 노출되어 약효저하 및 변질이 일어날 수 있기에 조제일로부터 6개월 이내입니다.

    물약의 경우는 팩포장의 개봉되지 않은 제품은 제품 포장지에 기재된 유효기간까지 사용가능하며 약국에서 덜어서 받아온 개봉된 제품은 처방일로 부터 한달 유효합니다.

    유효기간이 지난 제품은 약물의 반감기에 따라 약효가 감소하고 변질의 우려가 있기에 복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 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전문가 양은중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버리시는게 좋습니다.

    유통기한에 관하여 잘 정리해놓은 것이 있으니

    한번 확인하셔서 해당하는 부분이면 그렇게 진행하시면 됩니다.

    https://hollahello.tistory.com/entry/%EC%9D%98%EC%95%BD%ED%92%88-%EA%B0%9C%EB%B4%89-%ED%9B%84-%EC%9C%A0%ED%86%B5%EA%B8%B0%ED%95%9C-%EC%A0%95%EB%A6%AC%EC%97%B0%EA%B3%A0-%EC%95%8C%EC%95%BD-%EC%95%88%EC%95%BD-%EC%8B%9C%EB%9F%BD-%EB%93%B1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전문가 김종훈 의사 /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유효기간 지난 약은 약국에 폐기처리하시는걸 권장드립니다.

    의약품의 유효기간은 약품의 주성분함량이 95~105%를 유지할 수 있는 통상적인 기간을 의미합니다. 즉 유효기간이 오래 지날수록 의약품을 복용하시면 약 효과가 떨어질 확률이 큽니다. 따라서 굳이 유효기간이 불확실한 의약품 복용보다는 새로 약을 처방받거나 구입하시는것을 권장드립니다

    참고로 보통 처방약의 사용기간으로는

    1. 한번이라도 개봉된 약통에 들어있으면 조제일로부터 1년

    2. 포장된 상태로 존재한다면 조제일로부터 60일(출처: 미국약전)

    3.PTP상태로 받았으면 약품 포장겉면의 유효기간에 따르시면 되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전문가 조영지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유통기한이 지난 약이라면 어떠한 약이라도 폐기하는 것이 좋습니다. 전문의약품 폐기 수거함에 버리거나 가까운 약국 방문 후 폐기하는 것을 권장드립니다.

    약은 일반 식품처럼 유통기한이 있으며 보관방법에 따라 유통기한이 훨씬 짧을 수 있습니다. 또한 유통기한이 지난 약들은 체내 섭취시 부작용 및 후유증 등이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복용시 주의해야 합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전문가 김민세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알약의 유통기한은 조제된 날짜로부터 두 달 정도이고, 조제 과정에서 공기와 접촉하는 시간이 긴 가루약은 한 달 이내, 시럽 약은 2~3주 안에 먹어야 합니다.

    유통기한 약은 드시면 안되고, 약국의 폐의약품전용수거함으로 폐기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전문가 최용한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조제받은 약은 통상적으로 6개월정도를 유효기간으로 보시면 됩니다.
    포장이 온전한 상태가 아니라면 계속 빛과 공기에 의해 영향을 받으면서
    약효가 떨어질 수 있습니다.

    그래서 시간이 지날수록 약효는 적어지고 부작용은 커질 수 있어서
    급한경우가 아니라면 가급적 안드시면 좋구요,
    약에 따라 조금씩 다를 수 있으니 급해서 드신다면 처방받은약국에
    문의 후 드시는걸 추천드립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을까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전문가 전인배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조제하여 받으신 약에 대한 유통기한으로 고민이시군요. 조제하여 포장한 약의 경우 그 유통기한을 2-3개월 정도로 하고 있습니다. 효능이나 안정성을 고려하여 해당기간이 지난 약의 경우 보건소나 약국으로 폐의약품으로 처리하시는 것을 권장드립니다.

    이상 질문에 대한 답변이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아래 도움이 될만한 글을 첨부하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https://m.blog.naver.com/dlsqo9196/222263323647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전문가 김솔이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모든약에는 유효기한이 존재합니다. 유효기간은 적절한 보관상태에서 약의 안정성과 유효성이 유지되는기간입니다. 따라서 기간이 지난 약은 드시지 않는것을 추천드립니다. 오래된 약은 가까운 약국에 폐기해주세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전문가 이경민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유통기한이 지난약은 약의 효과가 감소 했을 가능성이있습니다.

    또 약의 성분이 변질되었을 수 있습니다. 어떤성분으로 변질되었을지는 알 수 없습니다.

    치료를 위해 먹는 약인데 굳이 위험을 무릎쓸 필요는 없습니다. 유통기한이 지났다면 새로 처방받으시는게 맞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전문가 김수재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1. 유효기한이 지난 약은 폐기하는게 좋습니다.

    -유효기한이 지난 영양제나 약의 경우 약의 성분이 변질되고, 변질된 성분에 의해 충분한 효과를 보지 못하거나 부작용이 생길 가능성이 있습니다.

    -가능하면 근처 약국이나 보건소에 방문하여 폐기요청하는게 좋습니다.

    답변이 도움되었길 바라며, 항상 건강하시길 바랍니다.

    약사 김수재 드림.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전문가 이현승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처방받으신 약의 유통기한이 지났다면 폐기하시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유통기한이 지난 의약품의 경우 품질적으로 아무도 책임을 질 수 없기 때문에 어떤 약화사고가 일어난다고 하여도 도움을 받으실 수 없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전문가 변종석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처방된 약이나 약국에서 받으시는 약의 유통기한은 각각 다릅니다

    먼저 먹는약의 경우 병포장일 땐 약품 용기에 표기되 유통기한으로 이해하시면 됩니다

    지퍼백이나 비닐 포장의 경우엔 6개월에서 1년까지(장담은 못합니다) 약국사정에 따라 다를 수 있으며

    아이들 시럽이나 가루약 같은 경우엔 1개월 정도 간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단, 항생제 시럽같은 경우엔 1-2주 정도로 짧으니 색이 변하거나 냄새가 변하면

    다시 처방받으셔야 합니다


    통약으로 된 인공눈물이나 안약은 1개월이고

    연고나 크림 같은 외용제는 6개월입니다

    나잘스프레이는 제품에 따라 다르지만 1-2개월 정도로 생각하시고

    가글액은 1개월 정도라 생각하시면 됩니다


    참고자료에 따라 사용기한의 오차는 있을 수 있으니 양해부탁드립니다

    가급적 남은 약은 폐기하시는 게 좋고 증상이 비슷하더라도 약이 디테일하게 달라질 수 있으며

    약물 오남용 방지를 위해 꼭 전문가에게 다시 약을 받으시길 바랍니다

    제 답변이 조금이나마 도움되셨길 바랄게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전문가 정승우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유통기한이 지나셨다면 약을 복용하지마시고 폐기하시는게 좋습니다.

    약의 유통기한은 약이 제대로 효능을 낼 수 있는 기간을 정한 것이기 때문에

    유통기한이 지난 약을 복용하신다면 제대로 효능이 나타나지 않을 뿐더러 부작용만 초래할 수 있습니다.

    또한 개봉하신 약인 경우 공기 중의 산소와 수분에 노출되어 유통기한보다 빨리 변질됐으니 주의해주시길 바랍니다.

    제 답변이 도움이 되셨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전문가 송용호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알약이 알루미늄으로 각각 포장되어 있는 압박포장(PTP)의 경우 표기된 유통기한 만큼 사용할 수 있고,

    약포지에 들어 있는 약의 경우 6개월 정도가 유효할 수 있지만, 보관상황이나 위생상태에 따라 더 짧을 수는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전문가 이준수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

    * 의약품의 경우 '사용기한' 으로 표현하시는 것이 더 적절한 표현입니다.

    일반적으로 사용기한은 최초 성분 함량을 기준으로 90% 이상의 효능이 보장되는 기간으로 설정합니다.

    일반적으로 비닐포장 등으로 재포장을 거쳐 조제 받으신 경구용 제제(물과 함께 삼켜 복용하시는 제제)는

    조제일로부터 3~6개월 정도를 사용기한으로 보시면 되겠습니다.

    사용기한을 이미 지나버린 경우

    유효성분의 변화로 약효 측면에서도 충분한 효과가 있지 않을 가능성이 높고

    부산물로 인해 예상치 못한 부작용이 있을 수 있어 사용하지 않으셔야 합니다.

    겉보기에 멀쩡해보여 폐기하는 것이 다소 아까우시더라도

    새로 처방 받아 복용하시거나, 일반의약품인 경우 약국에서 새로 구매하시어 복용하시길 권유드립니다.

    답변이 참고가 되셨으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