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준금리를 왜 낮추지 못하는 건가요?
시장 인플레이션이 지속되면 기준금리를 낮출 수 없다는 뉴스가 많이 나오던던데,
인플래이션과 기준금리간 어떠한 상관 관계가 있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기준금리를 낮출수 없는 이유는 질문자님께서 적어주신 인플레이션율이 높기 때문인데, 이 인플레이션율이라고 하는 것은 쉽게 생각하면 화폐의 상대적 가치를 말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어요. 인플레이션율이 높을수록 화폐의 상대적 가치가 빠르게 하락하게 되는 것을 의미하는데, 이러한 경우 실질임금의 감소와 심각한 경우 화폐의 가치 자체가 유명무실해지게 되면서 국가의 화폐통제가 이루어지지 않게 되면서 경제위기를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국가는 인플레이션율의 억제를 위해서 금리를 인상하게 되는 것이에요.
그래서 기준금리를 인상하게 되는 경우에는 인플레이션율이 낮아지게 되고, 반대로 금리를 인하하게 되는 경우에는 인플레이션율이 빠르게 상승하는 모습을 보이게되요
안녕하세요. 김병섭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인플레이션과 기준금리는 밀접한 상관관계가 있습니다. 중앙은행은 일반적으로 인플레이션을 관리하기 위해 기준금리를 조정합니다.
1. 인플레이션 억제를 위해 기준금리를 인상시킵니다.
- 기준금리 인상 → 대출금리 상승 → 가계와 기업의 대출 수요 감소 → 통화량 감소 → 인플레이션 억제
2. 반대로 경기 부양을 위해서는 기준금리를 인하합니다.
- 기준금리 인하 → 대출금리 인하 → 가계/기업의 대출수요 증가 → 통화량 증가 → 소비/투자 증가 → 경기 부양
따라서 현재 높은 인플레이션 상황에서 기준금리를 낮추면 오히려 인플레이션을 더 부추길 수 있습니다. 통화량이 증가하면서 화폐가치가 하락하고 물가상승압력이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중앙은행은 일반적으로 인플레이션을 낮추고 물가를 안정시키기 위해 기준금리를 인상합니다. 인플레이션이 목표치 이하로 내려갈 때까지 기준금리 인하는 신중할 수밖에 없는 상황입니다.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인플레이션이 높으면 금리를 올려서 이를 잡아야 하고 반대로 인플레가 진정되면 올라간 금리를
다시 인하하게 됩니다.
따라서 인플레이션은 기준금리의 조정으로 조절이 가능하며 현재 기준금리를 못내리는 이유도
물가상승률이 너무 높기 때문입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물가가 오르면 기준금리를 낮추긴 어렵죠 기준금리를 낮추면 시중에 돈이 더 풀려서 물가가 오르는 상태에서 낮추면 물가가 더더더 오릅니당!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아무래도 물가가 잡히지 않습니다,.
물가가 잡히지 않는 상태에서 금리를 내린다면
물가가 더 올라 실물 경제가 더 안 좋아지는 등 하기에
금리를 낮추지 못하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질문하신 기준 금리를 낮추지 못하는 이유에 대한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기준 금리가 낮아지게 되면 시중에 유동성이 풀리게 됩니다.
시중에 유동성인 현금이 많아지면 현금의 가치가 떨어져서
인플레이션이 늘어나게 됩니다.
그렇기에 쉽사리 금리 인하를 하지 못하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기준금리는 중앙은행이 결정하는 정책금리로서, 경제의 통화량과 인플레이션을 조절하는 주요 수단입니다. 일반적으로 시장 인플레이션이 높아지면 중앙은행은 기준금리를 인상하여 경제를 안정화시키려고 합니다.
이는 두 가지 이유로 이루어집니다. 첫째, 높은 인플레이션은 가격 상승률이 높아지는 것을 의미하므로, 금리를 높여서 소비를 줄이고 경제를 안정화시키는 것이 필요합니다. 둘째, 금리가 높으면 저축이 늘어나고 투자가 줄어들게 되어, 과도한 통화량 증가를 막을 수 있습니다.
반대로, 시장 인플레이션이 낮아지면 중앙은행은 기준금리를 낮춰서 경제를 부양하려고 합니다. 낮은 금리는 대출과 투자를 촉진시키며, 소비를 활성화시킵니다. 이로 인해 경제가 성장하고, 고용 창출도 늘어나게 됩니다.
제가 아는 선에서 답변을 드리는 점 참고하시고, 혹시나 일부 틀린 내용이 있을 수 있으니 다른 분들 답변도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경기침체 및 가계부채이자상승의 원인이 고금리를 줄이지 못하는 이유는 미국과의 금리차이가 벌어지면 외국자본이 빠져나가기 때문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철민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대부분 국가의 기준금리를 정하는 기준이 물가입니다. 보통 우리나라나 미국 모두 2% 정도 물가 수준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물가를 목표로 하는 것은 일반 국민들의 삶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최근 기준금리를 낮추지 못하는 이유는? 물가 상승률이 올라가고 있기 때문입니다.
안녕하세요. 안동주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기본적인 개념이 인플레이션은 물가 상승이고 금리는 돈의 가치입니다. 물가는 돈의 가치가 떨어지면 올라가고 돈의 가치가 올라가면 상대적으로 물건의 가치는 떨어지게 됩니다.
그러니 금리가 낮아지면 돈의 가치가 떨어지는것이고 상대적일 물건의 가치 즉 물가는 올라가게 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