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날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우리나라 반도체 관세에 최혜국 약속을 했다고 하는데요 왜 이런건가요
미국은 지금 자동차 관세를 시작으로 여러 품목에 대해 관세협상을 진행하고 있는
상태인데요 그리고 이제 반도체 관세도 하는것 같은데 우리나라 반도체 관세에 최혜국
약속을 했다고 하는데 왜 이렇게 다른나라에 비해 잘해주는지 궁금하네요
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
미국의 반도체 관세 정책은 무역확장법 제232조에 의한 것으로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최혜국 대우 약속이 되어있어 관세부과로부터 안전하다는 입장이나 실제로는 세부적인 발표내용이 나와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또한 대만 등 반도체 산업에 대한 경쟁구도를 유지하고 있는 국가와의 관세율 차이도 비교검토해볼 필요가 있으며 시시각각 나오는 정책자료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할 필요가 있겠습니다.감사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남형우 관세사입니다.
한국은 미국과 FTA를 맺고 있어 반도체 등 주요 품목에 대해 비교적 낮은 관세 혜택을 받고 있습니다. 이는 WTO 최혜국 대우 원칙과 더불어 양국 간 우호적 통상관계 덕분으로 해석됩니다. 반면 미국은 자국 산업 보호를 위해 중국, EU 등과는 고율 관세 협상을 진행 중입니다. 상대적으로 한국이 잘해주는 것처럼 보일 수 있으나, 이는 전략적 판단의 결과로 보이며 앞으로도 무역환경 변화에 따라 대응 전략이 계속 요구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이치호 관세사입니다.
반도체는 미국 입장에서도 전략 물자에 가깝습니다. 중국 견제 흐름 속에서 안정적인 공급망 확보가 최우선 과제로 떠오른 상황입니다. 우리나라는 그 안에서 사실상 유일하게 믿을 만한 고성능 반도체 공급국입니다. 그래서 트럼프 전 대통령 쪽에서 최혜국 대우 언급이 나온 건 공급 안정과 안보를 연결하는 시각 때문으로 보입니다. 통상적으로는 동맹국이라 해도 관세 협상에서 양보 잘 안 하는 게 보통인데 이번엔 좀 다른 맥락입니다. 자국 기업들이 파운드리나 메모리 확보에 불안감을 느끼는 가운데 한국 기업 없이는 유지가 안 된다는 현실도 영향을 준 것 같습니다. 또 반도체 장비와 기술을 미국이 쥐고 있다 보니 서로 의존도가 엮여 있는 관계이기도 합니다. 관세 면제는 당장은 우리 기업에 유리해 보이지만 이게 협상의 끝이 아니라는 점도 경계해야 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사실상 최혜국 대우라는 것은 특별한 것이 없습니다. 현재 반도체의 경우 생산할 수 있는 국가가 대만, 한국, 미국 정도이며 이에 따라 최헤국 대우를 준다고 하더라도 사실상 큰 차이가 없는 것입니다. 아울러, 현재 한국은 메모리 반도체의 80%이상을 생산하고 중국을 제외하면 거의 100%이기에 이에 따라 미국 입장에서는 반드시 챙겨야되는 파트너라고 보시면 됩니다. 그렇기에 립서비스로 실효성이 크게 없는 최혜국 대우에 대하여 언급한 것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