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놀이 이미지
놀이육아
놀이 이미지
놀이육아
단단한강아지169
단단한강아지16922.12.15

간식을 너무 좋아하는 아이 어떻게 하죠?

아이가 간식을 너무 좋아합니다.. 안 주면 울고 없으면 사 달라 울고.. 간식을 너무 먹으니 정작 끼니때는 밥을 조금 먹다가 말아요..

혼내도 보고 빌어도 봤는데 방법 있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9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천지연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간식을 달라고 떼를 부린다면 단호하게 안돼 라고 말을 해주세요.

    아이에게 간식을 많이 먹으면 안되는 이유를 아이가 이해하기 쉽게 설명을 해주셔야 합니다.

    또한 제 시간에 밥을 먹지 않으면 밥을 정리하도록 하세요. 아이가 배가 고파한다면 밥을 주도록 하세요.

    행여 아이가 배 고플까봐 걱정이 된다고 하여서 간식을 절대 주어서는 안됩니다.

    되도록 이면 간식을 집 안에 두지 말고, 사는 것도 자제 하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주영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간식 등의 군것질을 좋아한다고 하여 반복해서 주게되면

    밥을 제대로 먹지 않고 군것질만 찾게 됩니다. 정해진 규칙에 따라

    일정하게 간식을 제공해주시길 바랍니다. 아이와 대화를 통해

    정해진 시간에 간식을 줄 것이며 그외 시간에는 식사를 잘 하고 나면

    추가 간식을 제공한다는 규칙을 정해서 실행해보시면 식습관도 좋아지고

    치아건강도 좋아질 것이니 참고하세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12.15

    안녕하세요. 이정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들의 혀는 어른보다 1.3배 많은 미뢰가 있습니다. 따라서 단맛과 쓴맛, 신맛, 짠맛 등 기본적인 맛을 더 잘 느끼고 이것이 뇌에 더 빨리 기억됩니다. 따라서 이런 편향된 맛을 좋아하기 시작하면 편식이 시작됩니다. 이런 습관은 평생 가지고 가게 될 수도 있는데요, 때문에 유아기때부터 올바른 식습관을 가질 수 있도록 도와야 합니다. 어른들은 자극적인 음식을 먹으면서 아이에게만 먹지 못하게 한다면 아이는 반발하게 될지 모릅니다. 따라서 가족이 함께 노력할 필요가 있으며 아이가 쉽게 입맛을 바꾸지 못한다고 하더라고 너무 조급해 하지 말고 천천히 여유를 갖고 기다리는 자세가 필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은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간식을 주지 않는것이 좋으며

    아이가 운다고 해서 모든것을 다 해줄필요는 없습니다

    적절하게 식사시간을 유지하고 간식을 조절해주는것이 좋겠습니다.

    간식을 안주는것에 대해서 굳이 절절 맬 필요는 없기에

    그냥 단호하게 해주시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주호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일단 부모님은 간식을 좋아하시는지요? 부모부터 간식을 끊는 것이 먼저입니다. 커피도 안됩니다. 아이 몰래 먹는 것도 안됩니다. 애들은 간식을 어디 숨겼는지 다 알고 있습니다.


    부모님이 간식을 많이 안드신다면, 과일이나 누룽지 같은 자극적이지 않고 소화가 잘 되는 간식으로 대체하는 것부터 해주세요.

    아이가 자연스럽게 간식을 덜 찾게 될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서희원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

    부모님의 결단과 단호한 대처로 함께 연습해야 합니다.

    정해진 시간 정해진 장소에서 식사를 하는 습관은 아이가 성장함에 따라 약속이라는 개념과 연결됩니다. 이후 학습과도 깊은 관계를 가지고 있죠.

    이미 우는 방법으로 간식을 얻는 법을 알아낸 아이이기 때문에 계속 같은 방법으로 어쩌면 더 강한 울음과 떼씀으로 간식을 얻고자 할 것입니다. 작은 것부터 약속하고 규칙을 지키는 습관을 만들어 주세요. 처음에는 힘들지 몰라도 단호하게 거절 의사를 밝히고 울음을 통해서 간식을 얻을 수 없음을 아이에게 알려주셔야 합니다.

    부모님의 강한의지와 결단, 인내가 필수로 필요한 일이랍니다.


  • 안녕하세요. 양해욱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혼내고 빌어도 결국에는 아이의 뜻대로 간식을 제공하게 된다는 사실을 아이는 인지하고 있습니다. 아이에게는 단호하게 제때 정해진 식사를 하고 30~1시간이 지난 후에 간식을 제공하셔야 합니다. 간식의 양은 식사량에 버금가게 재공하게 되면 결국에는 간식으로 끼니를 대신하게 됩니다. 식사를 제대로 하지 않으면 간식은 제공하지 않아야 아이가 올바르게 인지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식사를 다 한 이후에

    간식을 먹게 하시길 바랍니다.

    식사를 다 마친 이후에 포상으로 간식을 소량을

    주는 방법으로 하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간식을 밥 먹기 전에 주지 마시고, 항상 밥을 먹고 난 다음에 주기 바랍니다.

    간식의 내용물이 대부분 달달한 과자나, 아이스크림이여서 아이들이

    달달한 것에 입맛을 들이면, 상대적으로 밍밍한 밥은 멀리하게 되어 있으니,

    항상 밥을 먹고 난 후 간식을 주는 습관을 들여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