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역사

나무777
나무777

1분은 왜 60초인가요? 100초로 할수도 있었을 탠데요

1분은 60초, 1시간은 60분이잖아요. 왜 100으로 하지 않고 60으로 했을까요?


어떤 이유가 있었을까요?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60을 기준으로 삼는 것을 60진법이라고 하는데 이 60진법은 고대 메소포타미아 때 이미 사용되었다고 합니다.

    이 60진법이 많이 사용된 이유는 10진법의 기준인 10과 12진법의 기준인 12의 최소공배수가 60이었기 때문입니다.

    이를 근거로 1분은 60초, 1시간은 60분입니다.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느부갓네살왕의 금 신앙은 60큐빗의 높이와 6큐빗의 넓이를 가지는데, 당시 바벨로니아가 60진법의 계산법을 가지고 있어 이들의 많은 구조물들이 60단위, 60진 법의 하위 단위로 측정되었습니다.

    이에 1분은 60초 단위가 된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주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시간의 단위 중 초, 분, 시는 불변인데, 과학계의 7대 기본 단위 중 하나이기도 한 초는 세슘 원자의 전자를 이용해 정의한 고정된 절댓값을 1초로 하며, 이것의 60배는 1분, 3600배는 1시간으로 정의한다. 반면 일, 년은 단순히 그것을 구성하는 시간의 배수가 아니라 천문학적인 주기까지 뜻하는데, 지구에선 자전속도의 감속이나 자전과 공전의 시간차 때문에 그 주기가 보정을 받아 변한다. 현재도 하루 중에 1초를 더 추가하는 윤초와 1년 중에 하루를 더 추가하는 윤년이 그 예이다.




    1초 - 전통적으로는 1분의 60분의 1, 즉 하루의 86,400분의 1 길이의 시간으로 정의되나, SI 단위계에서는 절대 영도 상태의 세슘-133 원자의 바닥 상태 두 초미세 에너지준위 간의 주파수의 차이인 9,192,631,770 헤르츠의 역수를 1초로 정의한다. 이처럼 엄청나게 복잡한 정의를 이용하는 것은 전통적인 1초에 가장 가까운 불변 시간단위를 찾다 보니 불가피하게 그리 된 것.

  • 안녕하세요. 박일권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그것은 바벨로니아 제국과 관련되어 있습니다.

    바벨로니아가 60진 법의 계산법을 갖고 있었고, 그들의 구조물들이 60진법의 하위 단위로

    측정됐기 때문입니다.

  • 바벨로니아가 60진 법의 계산법을 가지고 있어서 이들의 많은 구조물들이 60단위나 60진 법의 하위 단위로 측정됐기 때문입니다.

    기원전 1300년쯤에 이집트인들은 하루를 낮 12시간과 밤 12시간으로 나누었습니다.

    이러한 방식의 계산법은 60진법의 계산법과 함께

    바벨로니아로 부터 차용되어진 것으로 보입니다.

    그 60진법 계산법은 그리스인에게로 전해졌고 다시 로마인들에게 전해져 이후 유럽으로 퍼져나갔습니다. 서기 13세기에 와서 정확한 기계적 시계가 발명되어 1시간은 60분, 1분은 60초로 나누어졌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