점점 겨울이 따뜻해 지면서 눈도 덜오게 되던데 왜그럴까요?
지구 온난화로 인해서 지구가 점점 따뜻해지면서
북극에 얼음빙하도 녹고 북극곰도 먹을께 없어 사람사는 마을까지
온다고 하던데 우리나라에 눈이 덜 오는 원인도 지구 온난화에
영향이 있나요? 영향이 있다면 우리는 플라스틱사용 덜하고
자동차 배기가스 를 줄이고 공장 폐수나 매연을 줄이면 되나요?
지난 겨울의 전국 평균기온은 섭씨 3.1도로 1973년 이후 가장 높았다는 기상청 분석이 나왔다. 현재진행형인 '지구온난화'가 피부에까지 와 닿았다는 지적이다. 기상청이 분석 기준으로 삼은 1973년은 기상관측망을 전국에 대폭 확충한 시기로 이후 연속적으로 관측자료가 존재하는 45개 지점 관측값을 사용하고 있다.
기상청에 따르면 지난 겨울 최고기온은 섭씨 8.3도를 기록하고 최저기온은 섭씨 영하 1.4도를 기록했다. 지난해 12월과 올해 2월에 추위가 있긴 했지만 기간이 짧았던 탓에 대부분 기간의 기온이 평년보다 높았다. 특히 1월은 따뜻한 남풍의 잦은 유입으로 전국에 고온현상이 나타났고 1973년 이후 가장 높은 기온과 가장 적은 한파일수를 기록했다.
기상청은 지난 겨울 기온이 높았던 이유를 세 가지로 꼽았다.
먼저 시베리아 지역으로 따뜻한 남서풍이 자주 흘러들어가면서 평년보다 섭씨 3도 이상 높은 고온현상이 나타나 차고 건조한 시베리아 고기압이 발달하지 못했고 이 때문에 우리나라로 부는 찬 북서풍이 약해졌다는 것이다.
두 번째로 겨울에 발달하는 극 소용돌이가 평년에 비해 강해 제트기류가 극 가까이에 형성해 북극의 찬 공기를 가두는 역할을 한 점을 꼽았다. 극 소용돌이는 겨울철 북극 지역에 중심을 두고 발달해 찬 북극 공기를 머금은 저기압 덩어리다.
세 번째로 아열대 서태평양의 해수면 온도가 평년보다 높아 우리나라 남쪽의 따뜻하고 습한 고기압의 세력을 유지해 우리나라로 따뜻한 남풍기류가 들어왔다.지난 겨울은 또한 눈이 가장 적은 겨울이기도 했다.
기상청은 "남서쪽에서 다가오는 비구름에 의한 잦은 강수로 강수량은 1973년 이후 세 번째로 많았지만 기온이 높아 눈보다는 비가 주로 내렸다"고 분석했다. 강수량이 많았던 이유는 남쪽 고기압과 중국 남부에서 발달해 접근한 저기압 사이에서 형성한 남풍으로 따뜻하고 습한 공기가 자주 들어왔기 때문이다. 반면 한반도 주변 기온이 평년보다 매우 높고 약한 시베리아 고기압으로 찬 북서기류에 의한 눈구름대가 잘 만들어지지 않아 지난겨울의 적설이 하위 1위를 기록한 지점이 많았다.
지구온난화는 비단 한반도에만 영향을 준 것은 아니다. 북유럽과 러시아 서부를 중심으로 이상고온이 발생했다. 특히 호주에서는 지난해 10월부터 지난 겨울 동안 강한 폭염과 광범위하게 지속한 산불로 피해가 크게 나타났다. 이에 반해 북미와 이탈리아에서는 이상저온이 발생해 태국과 인도 북부 및 이집트에서는 100여 년 만에 폭설이 내렸다.출처 : 뉴스한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