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칠공주파리더
칠공주파리더24.04.13

벼는 인류 역사상 어디에서 최초로 재배가 되었나요?

우리 인류가 처음부터 벼를 재배하여 먹지는 않은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수렵 또는 사냥을 하다가 정착을 하게 되면서 농사를 짓게 되었을 텐데 농사를 지을 때에도 바로 벼부터 알고 재배하지는 않았을 것 같아요. 혹시 벼 농사는 언제부터 처음 시작되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기원전 15000년경 한반도에서 인류 최초의 순화 벼 재배가 있었다는 고고학적 증거가 발견되었다고 합니다.

    출토된 볍씨는 서울대 방사선탄소연대측정 연구실과 미국의 지오크론 연구실, 애리조나대학교로 보내져 1만5000년 전의 절대 연대 값을 얻어 청주 소로리볍씨가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볍씨로 확인됐고 여러 국제회의에서 공인됐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벼가 화석상으로 백악기 초기인 1억 1500만년전 남미에서 나왔다고 하며 인류의 벼 재배는 약 1만년전에서 6천년 전 농업이 시작되며 이루어졌습니다.

    자포니카 종은 중국 양쯔강 유역의 상산 유적과 허무두 유적 주변에서 기원전 8천년에 재배했던 흔적이 발견, 기원전 5500년 무렵 인디카 종이 분화해 인도로 이후 기원전 4천년 즈음 동남아시아 일대로 전파되었습니다.

    기원전 1천년을 전후해 캅카스에도 상륙, 아랍인들이 중세 초 이베리아 반도와 시칠리아에 중동 개량종 쌀이 전래되었고 15세기부터 이탈리아 북부에서 집중적으로 재배되기 시작했습니다.


  • 안녕하세요. 황정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벼는 인류역사상 최초로 인도 동쪽 벵골만에서 인도차이나 반도를 거쳐 중국 남부 광둥 만에 이르는 약 8000년 전을 전후한 시기에 시작하였다는 것이 통설입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한반도에서 벼농사의 기원은 한강 하류에서 발견된 볍씨들을 근거로 점차 신석기시대 후기인 기원전 2000년경 전후에 벼농사가 시작되었을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경기도 김포군 가현리 토탄층 (土炭層)과 경기도 일산 가와지 유적에서 출토된 탄화미에서 기원전 2000년경에 해당되는 연대가 나온 것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