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예금·적금

기운찬딱새215
기운찬딱새215

3월달에 테이퍼링이 조기종료된다고 가정하면?

3월달에 테이퍼링이 조기종료된다고 가정하면?

금리인상 3번은 어떤 상관관계가 있나요?

궁금합니다. 테이퍼링이 어떤작용과

금리인상은 왜하는것이며?

양적긴축? 완화? 무슨 말이에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먼저 테이퍼링의 사전적 의미는 '수도꼭지를 서서히 잠궈 물의 양을 줄인다'라는 의미입니다.(아래는 제가 작년 연말에 작성한 보고서 내용의 일부입니다.)

      지난 2013년 5월 미국 연준 의장이었던 벤 버냉키가 처음 꺼내들 용어입니다. 테이퍼링은 시중에 유동성 공급을 점진적으로 줄이는 조치를 의미합니다. 여기서 유동성은 '돈(money)'으로 이해 하시면 되는데 경기가 불황이거나 급작스런 경제 위기 때 금융 당국이 채권 매입, 직접 금융 지원 등으로 시중에 돈을 푸는 정책을 의미합니다. 코로나상생지원금 등도 양적완화의 민간 차원 정책 중 하나라고 보시면 됩니다.

      양적완화의 반대말은 긴축 또는 양적 긴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양적완화와 반대의 정책을 위하는 것입니다. 대표적인 것인 금리 인상인데 기준 금리를 인상하게 되면 시중에 떠 돌던 돈이 안전한 예금이나 국채 매입으로 일정 부분 몰려들게 되어 시중 유동성을 흡수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돈이 많을 때는 일부 위험 자산에도 투자하지만 돈이 부족하거나 위험 자산이 더 위험해 지거나 안전자산이 더 안전해지면(즉, 수익률이 올라가면) 돈은 안전자산으로 몰리게 됩니다. 또한 시중의 풍부한 유동성 때문에 자산 가격과 원자재, 완성재 가격이 올라가는데 이걸 인플레이션(=물가상승)이라고 합니다. 이를 잡기 위한 가장 직관적인 선택 또한 금리 인상입니다.

      상품이나 서비스의 가격이 오르는 건 풍부한 시중 유동성을 바탕으로 하는 잦은 거래입니다. 즉, 호가가 올라가면서 가격이 올라가는 것인데 거래 빈도수를 줄이면 가격 상승을 막을 수도 있습니다.

      이상 참고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