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화 표시 가격을 올리지 않는 것과 수입 상품의 가격이 오르지 않는 것은 어떤 관련성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수입 제품 가격이 상승하지 않는 이유로는 기업(외국)이 매출 감소를 우려해 상품의 원화 표시 가격을 바로 올리지 않기 때문이다.'라는데 원화 표시 가격을 올리지 않는 것과 수입 상품의 가격이 오르지 않는 것은 어떤 관련성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달러환율이 상승하게 되면 동일한 제품에 대해서 달러 기준으로 지급하는 원화 금액이 증가하게 되는데, 이러한 것을 바로 반영하게 되면 인플레이션이 크게 상승하게 되고 다른 대체제에 비해서 열등제가 될 수 있기 때문에 가격을 바로 반영해서 올리기는 쉽지 않다고 이야기를 하는 것으로 볼 수 있어요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수입제품을 수출하는 업체 즉 외국기업 입장에서는 우리나라에 수출할 때 물가상승 분을 반영하여 원화표시
단가를 인상시킬 경우 소비자에게 판매되는 금액도 상승하게 됩니다.
이로 인하여 한국의 소비자 입장에서는 경쟁력이 떨어지는 상품이 되기 때문에 외국 기업 입장에서는
상품의 가격을 안올리고 우리나라에 수출하게 되기 때문에 이 점에서 관련성이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철민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수입제품의 경우 가격이 변동하지 않는것과, 원화표시 가격이 변동하지않는 것은 같은 말입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원화표시로 가격을 매기기 때문입니다.
원화표시 가격을 변동시키지않고, 달러화 가격을 고정한다면,
환율이 올라갔을때 우리나라에 수입되는 제품의 가격이 올라가게 됩니다.
원화표시 가격이 고정되었다는 것은, 점유율 하락을 우려해 수출업체가 마진을 줄였다는 의미입니다.
안녕하세요. 홍성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원화 표시 가격을 올리지 않는 것과 수입 상품의 가격이 오르지 않는 것은 일반적으로 관련성이 있습니다. 외국 기업이 수입 상품의 가격을 올리지 않는 이유는 매출 감소를 우려하기 때문입니다.
외국 기업은 수입 상품의 가격을 올리면 원화로 지불하는 소비자들이 더 비싼 가격에 맞닥뜨리게 되어 매출이 감소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외국 기업은 매출을 유지하기 위해 수입 상품의 가격을 올리지 않거나, 다른 방법으로 가격 상승을 완화시키는 조치를 취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조치로는 외국 기업이 수입 상품의 가격을 일정 기간 동안 동결하거나, 환율 변동에 따라 가격을 조정하는 등의 방법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