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배터리회사들 괜찮을까요?
작년까지 이차전주 관련 회사들 실적이 좋았는데 요즘들어 비상경영을 시작했다는 말을 들었습니다 왜 이렇게 상황이 안좋게ㅈ된걸까요ㅠ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올해에도 베터리 기업들은 미국의 보조금이 없었다면 적자를 기록했을 것입니다
하지만 미국에서 보조금 지급이 있었기에 흑자를 낼 수 있었지만 내년부터 트럼프 2기가
시작되면 베터리 기업들 중 체력이 좋지 못한 기업은 많이 어려워질 전망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현재 실적이 좋더라도 미리미리 비상경영체제를 시작하는 모습입니다.
감사합니다.
최근 이차전지 관련 기업들의 실적과 주가가 계속 떨어지는 이유로는 리튬, 니켈 등의 원재료 가격 상승, 중국의 catl, byd등의 생산확대로 이차전지 산업의 경쟁 심화, 전기차 화재 등의 이유로 전기차 캐즘으로 인한 전기차 수요 감소 등이 주요 요인으로 거론되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 배터리 기업은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이 전기차와 배터리 공급망 규제와 동시에, 중국기업에 기술력과 원가 절감 능력 등으로 인한 기본 경쟁력과 점유율 차이가 발생해 최악의 상황을 맞이하고 있습니다.
일단 두가지입니다.
전기차가 안팔립니다. 전기차 캐즘현상으로 전기차가 안팔리는데 트럼프 정부가 들어서면 지원금도 줄어들것입니다.
거기다가 가격경쟁력을 위해 우리나라 기업의 방식이 아니라 중국기업 방식의 배터리가 더 인기를 끌고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전기차가 최근 성장세가 주춤해지면서 전기차에 들어가는 배터리까지 둔화되었습니다.
또한 트럼프 신정부에서 전기차 보조금 폐지까지 하면서 더욱 좋지 않은 상황입니다.
중국산 저가 공세도 영향이 크죠.
다만 향후 내연기관은 사라지고 전기차로 바뀔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현재 침제된 상황은 장기적인 관점으로 보았을때 좀더 버티는게 좋다고 보입니다. 일시적인 현상인데 이게 얼마나 오래갈지는 시장흐름을 지켜볼 필요가 있다고 판단됩니다. 참고 부탁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