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의료상담

내과

잘생긴왕나비120
잘생긴왕나비120

수면내시경 또 해도 되는지 문의드려요

성별
여성
나이대
73
기저질환
고혈압 고지혈증
복용중인 약
고혈압 고지혈증

2주전 전신마취로 손목금속판제거술 받고 한동안 산소포화도가 심호흡해도 90정도 밖에 안나왔는데요. 갑자기 속이엄청쓰리고 쥐어짜는 통증도 있어서 수면내시경 권유받았는데 해도 되려나요? 간호사들이 산소포화도 잴때 자꾸심호흡을 시키면서 측정해서 미덥지가 않더라구요. 심호흡해서 96나오니 정상이라고하고요..엄청쓰리면서명치 쥐어짜는 통등 증때문에 어젠구토도 했다고하는데 마취때문에 걱정입니다. 괜찮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채홍석 가정의학과 전문의입니다.

    업로드해주신 증상의 설명과 자료는 잘 보았습니다.

    마취때문에 검사를 하는 것이 망설여지시는 것이라면 비수면으로 검사를 진행하시면 됩니다.

    비수면으로 검사를 하시는 것이 도저히 어려울 것 같으면 수면으로 하셔도 됩니다.

    환자분의 걱정은 충분히 이해합니다.

    혹시 수면으로 검사를 진행하다가 사고가 날까봐 그러시는 것 같습니다.

    대부분의 병원은 수면내시경을 할 때 응급상황에 대비하여 여러 가지 장비와 인력을 갖추고 있습니다.

    응급상황이 발생하지 않는 것이 이상적이겠지만 설사 발생을 한다고 하더라도

    대부분의 병원에서는 대처가 가능하니 너무 걱정하지 않으셔도 되겠습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김수비 의사입니다.

    2주 전에 전신마취를 받고, 아직 산소포화도가 완전히 회복되지 않은 상태라면 수면내시경(진정내시경)을 받을 때 주의가 필요합니다. 수면내시경은 프로포폴 같은 진정제를 사용해 진행하는데, 이 약물은 호흡을 억제할 수 있어서 기존에 산소포화도가 낮았던 사람은 위험성이 높아질 수 있어요

    현재 심호흡 시 산소포화도가 96%까지 회복된 것은 긍정적인 신호이긴 하지만, 기본적으로 호흡 기능이 예전보다 약해졌거나 심장·폐 기능이 완전히 정상적이지 않은 경우라면 수면내시경 전에 반드시 담당 내과나 마취과 전문의와 충분히 상의해야 합니다.

    현재 구토와 명치 부근의 심한 통증, 속쓰림 같은 증상은 위염, 위궤양, 심한 경우 위출혈 등과 관련 있을 수 있어 내시경 검사는 필요해 보입니다. 다만, 꼭 수면내시경이 아닌 비수면 내시경(약간 불편하지만 수면제 없이 시행)으로도 진행할 수 있으니, 이런 대안도 의료진과 상담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만약 반드시 수면내시경을 해야 한다면, 내시경하는 병원에 산소포화도 모니터링과 응급대응 준비가 잘 되어 있는지 확인하고 진행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건강 상태를 고려한 신중한 접근이 필요한 상황입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최성훈 내과 전문의입니다.

    질문하신 분의 나이가 70대로 진정 내시경 검사 전 신체 상태의 확인이 먼저 필요하겠으나 적어주신 내용으로 미루어 일반 내시경 검사를 받거나 구역감이나 불안감이 심하여 일반 검사는 어렵다면 저용량의 진정제를 주의해서 사용해 볼 수 있겠으나 충분한 수면은 이루기 어려울 수 있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의 의료상담 전문가 의사 김민성입니다. 질문해주신 내용 잘 읽어보았습니다. 수면내시경을 고려하고 계신 상황이군요. 최근에 전신마취로 수술을 받으셨고, 이후 산소포화도가 낮았던 경험이 있다니 걱정이 많이 되실 것 같아요. 속 쓰림과 심한 통증 때문에 내시경을 권유받으셨다고 하셨는데, 이 상황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안전하게 검사를 받는 것이겠죠.

    먼저, 산소포화도의 경우 심호흡을 하면 일시적으로 상승할 수 있지만, 꾸준히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평소 산소포화도가 낮게 유지되는지 확인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내시경 검사를 고려할 때, 과거의 마취 경험을 전문의에게 정확하게 알리고, 현재의 산소포화도 상태를 충분히 설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증상이 심각하고 복통과 구토가 동반되는 상황에서는 빠른 진단과 처치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산소포화도가 불안정한 상황이라면, 내시경을 진행하기 전에 현재 건강 상태가 내시경을 받을 만큼 안정적인지 전문의의 세심한 평가가 선행되어야 합니다. 만약 필요한 경우, 내시경 도중 환자의 산소포화도가 지속적으로 모니터링될 것이며, 안전을 최우선으로 하여 검사가 이루어질 겁니다.

    저의 답변이 궁금증 해결에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