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예금·적금 이미지
예금·적금경제
예금·적금 이미지
예금·적금경제
심심한도마뱀164
심심한도마뱀16422.11.13

뱅크런이 란게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요즘에 경제 뉴스 뱅크런이 우려 된다는 기사들이 많던데요. 정확히 뱅크런이 무엇인지 궁금하고 뱅크런 사태가 발생하면 어떤 결과를 초래하는 지도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권용욱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

    뱅크론은 은행 시스템 자체가 무너져서 은행에 입금한 사람들이 한번에 돈을 빼는 현상입니다. 일단 은행은 부채가 엄청나게 많습니다. 경기가 좋을때는 부채가 많은게 좋은거죠 . 왜냐면 기업 이나 개인이 은행이 돈을 입금 하는것 자체가 은행한테는 부채로 잡힙니다. 하지만 경기가 나쁘면 어떻게 될까요? 사람들이 불안해서 돈을 빼겠죠? 그러면 은행은 돈을 줘야 하는데 일반적으론 문제가 없겠지만 은행이 다른 곳에 투자한 자금이 제대로 회수가 안된다면?

    이런 순환 시스템이 무너지게 됩니다. 그러면 은행이 망하는 거죠. 실제로 08년도에 있었던 미국 리먼사태나 한국의 98년 IMF 사태가 대표적인 뱅크런 사건입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뱅크런이란 단어는 BANK와 RUN의 합성어로 말 그대로 은행으로 달린다는 것인데요. 은행으로 달려가서 고객들이 하는 것은 '내가 맡긴 돈을 돌려줘'라는 액션을 취하게 됩니다. 이러한 뱅크런은 경제상황이 악화됨에 따라서 금융시장 전반에 자금을 맡긴 고객들이 내가 예금을 맡긴 은행들이 내 돈을 돌려주지 못할 수도 있다는 위기감이 증가하게 되면서 먼저 돈을 빼려고 하게 되면서 발생하게 됩니다.

    평상시는 예금 만기가 되면 자금을 해지하고 가져가지만 예를 들어서 1달에 100억원의 돈을 지급할 능력이 되는 은행이 이러한 뱅크런 사태가 발생하면 1,000억원의 돈을 한번에 지급해야하니 당장 대출을 해줬던 고객들이 돈을 갚을일도 없고 자금을 마련할 방법이 없는 은행으로서는 파산하게 될 가능성이 높아지게 되는 것입니다.

    이렇게 하나의 은행이 파산을 하게 되면 다른은행에 돈을 맡겼던 고객들도 B은행도 파산할지도 모른다 생각하니 너도나도 다 돈을 찾으러 가는 뱅크런 현상이 전 금융기관에 발생하게 되고 그 결과는 정말 돈을 지급할 능력이 되는 금융기관을 제외하고는 많은 금융기관들이 연쇄적인 파산을 할 가능성이 높아져 '금융위기'로까지 이어질 수 있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좋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 안녕하세요. 김재철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뱅크런은 경제상황 악화로 금융시장에 위기감이 조성되면서 은행의 예금 지급 불능 상태를 우려한 고객들이 대규모로 예금을 인출하는 사태, 즉 경제 악화로 금융시장에 위기감이 조성되면서 은행의 예금 지급 불능 상태를 우려한 고객들이 대규모로 예금을 인출하는 상황을 가리키는 말입니다.

    최근 FTX거래소에서 이러한 현상과 유사한 상황이 벌어지고 있어서 뱅크런이란 말이 뉴스에 자주 언급되고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뱅크런이란 경제상황이 악화됨에 따라서

    금융시장에 위기감이 조성되고 이에 따라서 예금지급 불능 등을

    우려한 고객들이 대규모로 예금을 인출하는 상황으로 해당 뱅크런 등은

    해당 은행 등을 파산으로 이끄는 등 금융시장 전체적으로 상당히 악재이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뱅크런은 경제상황이 악화되어 금융시장에 위기감이 조성되어 고객들이 혹시 모를 예금지급 불능 사태를 우려하여 에금된 돈을 일시에 인출하는 사태를 말합니다.

    은행에서는 당장 돌려줘야하는 돈이 바닥나는 현상이 발생 할 수 있고 이를 뱅크런이라 부릅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엽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뱅크런이란 금융회사의 지급능력에 예금자들이 불안을 느끼게 되어 다수의 예금자들이 금융회사에 동시에 예금지급을 요구하게 되는 현상을 말합니다. 과거 우리나라 97년 외환위기 때와 12년 저축은행 사태시에 일부 금융회사에서 뱅크런이 발생한 적이 있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11.13

    안녕하세요. 이정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뱅크런은 은행이 기업에 대출해 준 돈을 돌려받지 못한다거나, 주식 등의 투자 행위에서 손실을 입어 부실해지는 경우, 은행에 돈을 맡겨 두었던 예금주들이 한꺼번에 돈을 찾아가는 대규모 예금 인출 사태를 의미합니다.

    뱅크런이 위험한 이유는바로 이 같은 공포의 무차별적인 확산입니이다. 예를 들어 A의 행동이 B에게 영향을 주고 끝나는 것이 아니라, 다시 C, D 등에게 순차적으로 영향을 준다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