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내과 이미지
내과건강상담
내과 이미지
내과건강상담
관대한벌새1
관대한벌새120.08.19

당뇨병! 저혈당에 대하여 질문 드립니다

당뇨병은 인슐린의 분비량이 부족하거나 정상적인 기능이 이루어지지 않는 등의 대사질환의 일종으로, 혈중 포도당의 농도가 높아지는 고혈당을 특징으로 하며, 고혈당으로 인하여 여러 증상 및 징후를 일으키고 소변에서 포도당을 배출하게 된다.

혈액검사로 진단하며 증상이 없는 경우 8시간 이상 금식 후에 측정한 혈당이 126mg/dL 이상이거나, 경구 당부하 검사 2시간 후 혈당이 200mg/dL 이상인 경우를 당뇨병이라 한다. 물을 많이 마시거나 소변이 많아지고 체중이 감소하는 동시에 식사와 무관하게 측정한 혈당이 200mg/dL이상일 때도 당뇨병으로 진단한다.

당뇨의 정의는 알겠는데요.그런데 말입니다.저혈당 수치는 어느 정도라야 저혈당일까요? 그리고 약이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장승현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고혈당 보다 무서운 것이 저혈당이라는 말이 있습니다.

    정의 부터 보시면 정상 혈당은 공복시 70∼115 mg/dL, 식사 후 2시간 혈당은 140 mg/dL를 넘지 않습니다. 사람에 따라 저혈당 증상이 나타나는 혈당은 일정하지 않으나 대체로 혈당이 50 mg/dL 이하로 떨어졌을 때 저혈당 증상이 나타나게 됩니다.

    원인은 주로 당뇨병 치료에 따른 부작용으로 발생하는 경우가 많은데, 인슐린 용량이 지나치게 많거나 경구 혈당강하제를 과도하게 복용한 경우, 그리고 식사를 제대로 못하거나 운동량이 갑자기 많아질 때 나타납니다.

    이외에도 음주나 일부 혈당을 떨어뜨리는 약물의 사용, 중증의 신체적 질환, 부신피질호르몬이나 글루카곤 등의 호르몬 결핍, 인슐린 생성 췌장 종양, 인슐린에 대한 자가면역 질환이 있는 경우, 위절제술 환자, 유전성 탄수화물 대사효소 이상 질환 등의 요인에 의해서도 저혈당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치료는 특별한 약은 없고 우리몸의 혈당을 높여주는 음식을 먹으면 됩니다.

    저혈당 증상이 있으면 즉시 혈당 검사를 하여 혈당이 정상이하로 낮아진 것을 확인함과 동시에 치료를 시작하여야 합니다. 그러나 혈당 측정을 할 수 없더라도 곧바로 다음과 같은 치료를 해야 합니다.

    • 가장 신속히 흡수되어 신체에 작용할 수 있는 당질을 15∼20 g 정도 섭취하도록 합니다. 예를 들면 콜라 1∼2컵, 오렌지 쥬스 1∼2컵, 우유 1∼2컵, 각설탕 2∼3개를 물에 녹여서 사탕 3∼4개 등입니다.

    • 하던 일을 멈추고 휴식을 취하면 약 15분이 지나도 계속 저혈당 증상을 느끼면 위의 치료를 반복하거나 간단한 음식(과자, 빵 등)을 먹도록 합니다.

    • 그래도 혈당이 낮거나 저혈당 증상이 지속되면 곧 의사에게 연락합니다.

    • 저혈당 증상이 모두 없어지면 가벼운 식사를 합니다.

    • 환자가 의식이 없으면 음식을 먹거나 마실 수 없는데 따라서 억지로 음식이나 음료수를 먹이려 하면 기도가 막히게 될 수 있어 위험합니다. 이 때에는 빨리 병원 응급실로 이송하여 포도당 주사를 맞도록 해야 합니다.

    앞서 말씀 드린 것 처럼 저혈당은 대부분 당뇨병 치료 하면서 오는 합병증으로 올 수 있는 것이기에 평소에 자가 혈당을 잘 체크하면서 증상이 있을 떄 확인해 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것이 아니고 앞서 말한 증상이 있으면서 혈당이 50이하라면 내분비 내과에 내원하여 검사를 받는 것을 추천 드립니다.

    -내과 전문의 장승현-